1일차(화)

형진·2021년 8월 24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1/7

📌변수

📖변수의 이해

  • 프로그래밍은 데이터 처리를 하는 것임을 이해한다.
  • 변수 사용은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꺼내 쓰는 것임을 이해한다.
  •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설명하고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 값으로 변환된 표현문이 변수에 할당되어 담기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변수 선언과 값 할당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가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할당연산자임을 이해할 수 있다.
  • num = num + 1이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값을 할당하는 것임을 설명할 수 있다.

📖변수 예제

선언은 let name;
할당은 name = choi;
동시에 let name = choi;

//선언 방법
let name = 'choi',
    age = 32;

//선언 방법 2
let name = 'choi';
let age = 24;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할당가능
let sum =1;
sum = sum + 2
sum = sum + 3
sum = sum + 4 // (sum += 4)로 사용 가능
foo = 'foo'
bar = 5
baz = true
위와 같은 변수를 가정할 때

// Number + Number -> 덧셈
bar += 2 // 7

// Boolean + Number -> 덧셈
baz += 1 // 2

// Boolean + Boolean -> 덧셈
baz += false // 1

// Number + String -> 연결
bar += 'foo' // "5foo"

// String + Boolean -> 연결
foo += false // "foofalse"

// String + String -> 연결
foo += 'bar' // "foobar"


📌타입

📖타입의 이해

  •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 원시 자료형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타입마다 다른 속성과 메소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typeof 를 활용하여 특정 값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 비교 시 엄밀한 비교( === 과 !== )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타입 예제

//String
typeof 37 === 'number';

//Number
typeof "" === 'string';
typeof "bla" === 'string';

// Booleans
typeof true === 'boolean';

// Objects
typeof {a:1} === 'object';
typeof [1, 2, 4] === 'object';
typeof new Date() === 'object';

// Functions
typeof function(){} === 'function';

📌함수

📖함수의 이해

  • 함수가 "작은 기능의 단위"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함수 선언을 위해 필요한 keyword, name, parameter, body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함수 선언과 호출의 기초적인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함수가 선언되어 함수 표현식이 변수에 담기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함수의 결과값이 변수에 할당되어 담기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함수의 호출과 리턴에 대해서 이해하고, 실제 코드로 작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 함수 그 자체(func)와, 함수의 호출(func())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매개변수(parameter)와 전달인자(argument)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같은 기능을 하는 함수를 선언식, 표현식, 화살표 함수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함수 예제

//함수 선언식
function funcName(a,b){
  let area = (a*b)/2;
  return area;

//함수 표현식
const funcName = function(a,b){
  let area = (a*b)/2;
  return area;
  
//화살표 함수
const funcName = (a,b)=>{
  let area = (a*b)/2;
  return area;
  
//식이 한줄이면 중괄호 생략 가능
const funcName = (a,b) => a*b/2;
const funcName = (a,b) => (a*b/2);

📌조건문

📖조건문의 이해

  • truthy와 falsy 가 조건문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 비교연산자를 통한 엄격한 비교(=== , !==)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if 와 else if , else를 이해하고 무리없이 활용할 수 있다.
  • 논리연산자를 (&&, ||, ! ...)을 통해 복잡한 조건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조건문 예제

//if문 기본
if(조건){} //방법1
(조건) ? true : false //방법2

!false //true
!(3>2) //false
!undefined // true //undefined 는 false 값이다
!'hello' // false

//기억해야할 fasle 값 
// if구문에서 false 값으로 변함 그러므로 if문 실행이 안됌
if(false)
if(null)
if(undefined)
if(0)
if(NaN)
if('')

❓문제 풀다 나온 추가 내용

제곱구하는 방법 3가지

pow**2
pow*pow
Math.pow(pow,2)
profile
느낀대로 적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