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작업 중 하나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와 통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fetch와 axios를 사용하여 쉽게 통신할 수 있다. 둘의 기능은 매우 유사하고, Fetch API는 axios의 주요 기능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 Fetch
JSON Web Token(JWT)은 웹표준(RFC7519)으로서 두 개체에서 JSON객체를 사용하여 가볍고 자가수용적인(self-contained)방식으로 정보를 안전성 있게 전달해준다. JWT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될까? 회원 인증 정보 교류 JWT 구조 1.헤
OAuth2.0은 인증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의 한 종류이다.보안된 리소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제공(Authorization)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프로토콜 중 한 방법이다.Resource Owner: 액세스 중인 리소스의 유저이다. A유저의 구글
1.스키마와 관계 블로깅 a. 1:1, 1:N, N:M 관계 sql로 작성하면서 블로깅 b. 스키마의 대한 개념과 3가지 관점 블로깅2.mvc패턴과 orm 개념 블로깅 a. 오래된 패턴이지만 일단 개념잡기 b. orm개념을 알고 컨셉 api인 sequelize블로깅3
assign을 다시 알아보는 이유는 redux를 배웠을 때, reducer를 구현할 때, 보통 아래의 코드 처럼 쓰인다.case안의 return을 보게되면 전개연산자를 써서 새로운 상태를 반환하는 코드인데,저렇게 표현하는 코드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고, 저게 자세히
Redux React에서 단방향 데이터 흐름의 원리가 대중화 되고, 애플리케이션이 확장되면서, 상태 관리가 어려워졌고, 이를 통해 페이스북에선 FLUX 아키텍쳐 출시 하였다. Redux는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측 가능한 상태를 관리해주는 컨테이너라고 정의하고
JSON이란?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브라우저와 서버사이의 오고가는 데이터 형식이다. 사용법 JSON.stringify(vale, replacer, space) value: JSON 문자열로 변환할 값 replace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는 '고객'을 뜻한다. 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말한다.서버(Server):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게 되면 요청에 따른 답을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서버라고 한다. 프로토콜(Protocol): 클라이언트와 서버와 통신간 정
이 그래프가 간단하게 설명해주고 있다.동기(sync) : 요청이 들어오는 순서에 따라 응답을 받는다. 여러가지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비동기(Async) : 하나의 요청을 즉시 처리 하지 않아도, 그 대기 시간동안 다른 요청도 처리가 가능하다.왜 비동기를 쓰는걸
흔히들 말하는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지향 언어에 싱글스레드로 동작하며, 프로토타입기반의 언어라고들 한다. 프로토타입 막상 찾아보면 온갖 이해하기 힘든 내용들이 많이 기제되어있다. 차근차근 파헤쳐가면서 알아가보고자 한다.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이다. 모든 객체들이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를 시작하면서 어떤 블로그를 선택할지의 고민의 연속이었다. Github.io, Tistory, brancb, Medium, Velog등등.. 다양한 블로그를 찾아 봤지만 Tistory가 접근성이 나에겐 가장 쉽게 다가왔다. 부트캠프에서 배우는 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