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tity Listener 의 활용 Listener > 이벤트를 관찰하고 있다가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동작을 실행
✨ Entity 기본속성 (1) @GeneratedValue > 개발자가 직접 만든 값이 아닌 자동 생성된 값을 사용하겠다는 의미 IDENTITY 일반적으로 MySql 에서 많이 사용, Transaction 이 실행되기 전에 ID 값을 사전에 받아옴 -> 실제로 커밋

키(key)와 데이터(value)를 매핑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해쉬 함수를 통해 배열에 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인덱스 번호)를 계산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알 수 있으므로 저장 및 탐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미리 해쉬 함수가
하나의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은 다양함👉 다양한 알고리즘 중 어느 알고리즘이 더 좋은지를 분석하기 위해, 복잡도를 정의하고 계산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 실행 속도👉 시간 복잡도의 주요 요소는 반복문 (입력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반복문이 알고리즘 수행 시간을 지배)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관리하는 데이터 구조 (= 연결 리스트)배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에 데이터를 나열하는 데이터 구조노드(Node) : 데이터 저장 단위(데이터값, 포인터)로 구성포인터(Pointer) : 각 노드 안에서, 다음이나 이전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구조가장 나중에 쌓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 ( LIFO )스택은 LIFO 또는 FILO 데이터 관리 방식을 따름대표적인 스택의 활용 :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스 구조

줄을 서는 행위와 유사가장 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낼 수 있는 구조 ( FIFO, LILO 방식 : 스택과 반대 )Enqueue : 큐에 데이터를 넣는 기능Dequeue : 큐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기능JAVA 에서는 기본적으로 java.util 패키지에 Que
데이터를 나열하고, 각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장점 - 빠른 접근 가능 : 첫 데이터의 위치에서 상대적인 위치로 데이터 접근( 인덱스 번호 )단점 - 데이터 추
용어 : 자료구조, 데이터 구조, data structure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를 의미코드상에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구조화👉 어떤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코드 효율이
동명이인이 있을 경우, 반환값을 User 가 아닌 List<User.>쿼리메서드의 리턴값은 다양하게 설정 가능 ( ex. Optional, Page, Stream ... )find...By, read...By, query...By, get...By 등 모두 동일한
ORM이 DB의 TABLE과 매칭하는 자바 객체@Entity를 통해 선언가능 ( PK 반드시 필요 )@GeneratedValue 를 통해 ID 값 자동 증가 설정Entity를 조회, 저장 등 컨트롤하는 주체JpaRepository를 상속받아야함👉 이를 통해 다양한 J

Application의 Object와 Database의 Table을 매핑ORM을 정의한 표준 스펙(JAVA진영의 ORM 명세)💥 Java Persistence API = Jakarta Persistence APIJPA에 대한 실제 구현체(Implementaion)JP
개발한 REST API를 편리하게 문서화 해주고, 이를 통해서 관리 및 제3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API를 호출하고 테스트 할 수 있는 프로젝트Spring Boot에서는 간단하게 springfox-boot-starter 를 gradle dependencies 에 추가함으
테스트 주도 개발에서 사용하지만, 코드의 유지 보수 및 운영 환경에서의 에러를 미리 방지 하기 위해서 단위 별로 검증 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작성한 코드가 기대하는 대로 동작을 하는지 검증하는 절차Java 기반의 단위 테스트를 위한 프레임 워크, Annotation 기반
스프링 부트 - 쇼핑몰 프로젝트 with JPA 를 공부한 부분에서 기록할만한 내용들을 기록한다.@RestController는 Restful Web API를 좀 더 쉽게 만들기 위해 도입된 기능이다. @Controller 와 @ResponseBody를 합쳐 놓은 어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