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본 시계열이 Trend 및 잔차로 분해되고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앞서 언급한 window splitting을 사용하여 full window와 context window를 설정함. 그런 다음, 각 window에 대해 time-domain representation learning과 frequency-domain representation learning을 수행하여 sequence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음. 그 후, context window와 full window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anomaly score를 계산함
거리를 측정할 때 Cosine distance나 DTW와 같은 전통적인 거리 측정 방법들은 시계열 길이에 지나치게 민감하여 적용하기 어려움.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경만 기반의 network를 사용함. 구체적으로,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TCN)을 표현 네트워크로 활용함
또한, 본 논문에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을 위해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를 사용하여 Time domain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을 수행함. 이는 다른 CFT, STFT와 같은 알고리즘보다 비교우의를 가지기 때문에 DFT를 활용함

여기서 와 는 각각 시간 영역에서 Trend와 Residual 성분의 표현 결과이고, 와 는 각각 주파수 영역에서 Trend와 Residual 성분의 표현 결과임. 이때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Cosine similarity가 사용됨. Anomaly score가 높다는 것은 의심 구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함.
구체적으로, Full window와 Context window를 sliding 하는 과정에서 의심 구간도 같이 sliding되는데 이때 모든 지점은 여러 의심 구간에 속하게 되고 그 중 절반 이상이 anomaly로 labeling이 된다면 해당 지점이 anomaly로 판단되는 프로세스를 거침



- Time branch나 Frequency branch만 사용할 경우, 모델의 성능이 하락함
- Time branch에 Decomposition module을 추가하면, 동일한 TCN model에 비해 F1 score가 거의 30% 향상됨
- Augmentation data rate가 0.5로 설정된 Normal data augmentation module을 추가하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이러한 성능 개선은 Time-domain 이상 데이터 증강 module을 추가하고 augmentation ratio를 0.4로 설정했을 때도 동일함. 특기할만한 부분은 각 module을 추가했을 때의 성능 향상폭의 합보다 두 module을 동시에 추가했을 때 성능 향상폭이 더 크다는 것임
- Frequency branch를 추가한 뒤, F1 score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Variance도 줄어드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