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NxN 크기의 복도가 있다. 복도는 1x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지며, 특정한 위치에는 선생님, 학생, 혹은 장애물이 위치할 수 있다. 현재 몇 명의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몰래 복도로 빠져나왔는데, 복도로 빠져나온 학생들은 선생님의 감시에 들키지 않는 것이 목표이다.
각 선생님들은 자신의 위치에서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으로 감시를 진행한다. 단, 복도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선생님은 장애물 뒤편에 숨어 있는 학생들은 볼 수 없다. 또한 선생님은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에 대하여, 아무리 멀리 있더라도 장애물로 막히기 전까지의 학생들은 모두 볼 수 있다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이 3x3 크기의 복도의 정보가 주어진 상황을 확인해보자. 본 문제에서 위치 값을 나타낼 때는 (행,열)의 형태로 표현한다. 선생님이 존재하는 칸은 T, 학생이 존재하는 칸은 S, 장애물이 존재하는 칸은 O로 표시하였다. 아래 그림과 같이 (3,1)의 위치에는 선생님이 존재하며 (1,1), (2,1), (3,3)의 위치에는 학생이 존재한다. 그리고 (1,2), (2,2), (3,2)의 위치에는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 때 (3,3)의 위치에 존재하는 학생은 장애물 뒤편에 숨어 있기 때문에 감시를 피할 수 있다. 하지만 (1,1)과 (2,1)의 위치에 존재하는 학생은 선생님에게 들키게 된다.
학생들은 복도의 빈 칸 중에서 장애물을 설치할 위치를 골라, 정확히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자 한다. NxN 크기의 복도에서 학생 및 선생님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을 때, 장애물을 정확히 3개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이 선생님들의 감시를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N=5일 때, 다음과 같이 선생님 및 학생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이 때 다음과 같이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면, 모든 학생들을 선생님의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만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 (3 ≤ N ≤ 6) 둘째 줄에 N개의 줄에 걸쳐서 복도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행에서는 N개의 원소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해당 위치에 학생이 있다면 S, 선생님이 있다면 T,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X가 주어진다.
단, 전체 선생님의 수는 5이하의 자연수, 전체 학생의 수는 30이하의 자연수이며 항상 빈 칸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정확히 3개의 장애물을 설치하여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출력한다. 모든 학생들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다면 "YES", 그렇지 않다면 "NO"를 출력한다.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as cb
def watch():
for teacher in teacher_list:
x, y = teacher
# 상
nx, ny = x, y
while nx > 0:
nx -= 1
if hallway[nx][ny] == 'S':
return False
if hallway[nx][ny] == 'O':
break
# 하
nx, ny = x, y
while nx < N - 1:
nx += 1
if hallway[nx][ny] == 'S':
return False
if hallway[nx][ny] == 'O':
break
# 좌
nx, ny = x, y
while ny > 0:
ny -= 1
if hallway[nx][ny] == 'S':
return False
if hallway[nx][ny] == 'O':
break
# 우
nx, ny = x, y
while ny < N - 1:
ny += 1
if hallway[nx][ny] == 'S':
return False
if hallway[nx][ny] == 'O':
break
return True
if __name__ == '__main__':
N = int(input())
hallway = [input().split() for _ in range(N)]
empty_list = []
teacher_list =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hallway[i][j] == 'X':
empty_list.append((i, j))
elif hallway[i][j] == 'T':
teacher_list.append((i, j))
# 벽 3개 뽑기
for walls in cb(empty_list, 3):
# 벽 세우기
for wall in walls:
x, y = wall
hallway[x][y] = 'O'
# 감시하기
if watch():
print('YES')
break
# 벽 허물기
for wall in walls:
x, y = wall
hallway[x][y] = 'X'
else:
print('NO')
참고 블로그: https://deok2kim.tistory.com/249
다른 풀이
from sys import stdin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from copy import deepcopy
dx = [1, 0, -1, 0]
dy = [0, 1, 0, -1]
n = int(input())
board = [list(map(str, 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emptys = []
teachers = []
students =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board[i][j] == 'X':
emptys.append([i, j])
elif board[i][j] == 'T':
teachers.append([i, j])
elif board[i][j] == 'S':
students.append([i, j])
def DFS(board, x, y, idx):
global n
if x < 0 or x >= n or y < 0 or y >= n or board[x][y] == 'O':
return
else:
board[x][y] = 'T'
DFS(board, x + dx[idx], y + dy[idx], idx)
def check():
copy_board = deepcopy(board)
for [x, y] in teachers:
for i in range(4):
DFS(copy_board, x, y, i)
for [x, y] in students:
if copy_board[x][y] != 'S':
return False
return True
for case in list(combinations(emptys, 3)):
for [x, y] in case:
board[x][y] = 'O'
if check():
print("YES")
exit()
for [x, y] in case:
board[x][y] = 'X'
print("NO")
<문제>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두 나라가 공유하는 국경선을 오늘 하루 동안 연다.
위의 조건에 의해 열어야하는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인구 이동을 시작한다.
국경선이 열려있어 인접한 칸만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으면, 그 나라를 오늘 하루 동안은 연합이라고 한다.
연합을 이루고 있는 각 칸의 인구수는 (연합의 인구수) / (연합을 이루고 있는 칸의 개수)가 된다. 편의상 소수점은 버린다.
연합을 해체하고, 모든 국경선을 닫는다.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졌을 때,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L, R이 주어진다. (1 ≤ N ≤ 50, 1 ≤ L ≤ R ≤ 1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진다. r행 c열에 주어지는 정수는 A[r][c]의 값이다. (0 ≤ A[r][c] ≤ 100)
인구 이동이 발생하는 일수가 2,000번 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x = [1, -1, 0, 0]
dy = [0, 0, 1, -1]
def bfs(x, y):
move_q = deque()
q.append([x, y])
c[x][y] = 1
people, cnt = 0, 0
while q:
x, y = q.popleft()
move_q.append([x, y])
people += a[x][y]
cnt += 1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not c[nx][ny]:
if l <= abs(a[x][y] - a[nx][ny]) <= r:
c[nx][ny] = cnt
q.append([nx, ny])
while move_q:
x, y = move_q.popleft()
a[x][y] = people // cnt
if cnt == 1:
return 0
return 1
n, l, r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ans = 0
while True:
q = deque()
c = [[0]*n for _ in range(n)]
cn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not c[i][j]:
cnt += bfs(i, j)
if not cnt:
break
ans += 1
print(ans)
참고 블로그: https://dailyheumsi.tistory.com/61
<문제>
위의 두문제를 이해하느라 시간을 너무 많이 썼다....
내일의 나에게 토스..
코드를 입력하세요
저도 위의 두 문제를 이해하느라 시간을 많이 써서 3번은 못풀었어요🥲 이해하는데만 해도 시간이 꽤나 많이 걸리네요🥲🥲 아직 오늘이 남긴 했지만 이번주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