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MV* (1)

Khan·2022년 12월 26일
0

MVC (jQuery)

  • View (화면)
    • 웹 프론트에서 최종적으로 HTML과 CSS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을 의미함
    • 즉 최종 사용자에게 무엇을 UI로 보여주기위한 역할
  • Model (데이터)
    • 데이터를 다루는 영역
    • Model의 범주
      • javascript의 Object
      • 서버의 API로 받는 데이터
  • Controller (컨트롤러)
    • Model의 데이터를 받아 View가 화면에 그리고 다시 유저의 동작을 받아 Model을 변경하게 해주는 것이 Controller의 역할
    • 즉 Model과 View사이의 중간 다리 역할.

MVC로 분리한 이유

  1. 화면을 다루는 문제와 데이터를 다루는 문제의 성격이 달라서 분리하기 위해서
  1. Model과 View간의 의존관계를 최소화 해서 화면의 수정이 데이터수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데이터 수정이 화면의 수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자 하려고

jQuery시절의 MVC 아키텍쳐

  • ajax로 부터 받는 데이터를 Model로 취급
  • HTML과 CSS로 만들어지는 화면을 View로 취급합
  • javascript가 중간에서 서버의 데이터를 받아서 화면을 바꾸고 이벤트를 처리해서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Controller의 역할을 수행

MVVM (Angular, React, Vue)

MVC의 니즈

  • 데이터를 찾아서 데이터를 바꾸고 데이터를 수정하고 이벤트를 연결하고 이벤트를 수정하는 해야함 ⇒ 피곤하고 반복적인 패턴
  • 직접 DOM을 건드리는거 보다 템플릿과 같은 선언적인 방식으로 변경하고 싶음

해결방안

  • Model이 변하면 View를 수정하고 View에서 이벤트를 받아서 Model를 변경한다는 Controller의 역할은 그대로 인데 이를 구현하는 방식이 jQuery와 같은 DOM 조작에서 템플릿과 바인딩을 통한 선언적인 방법으로 변하게 됨.
  • DOM을 가져오고 조작하는 로직이 사라지고 이를 프레임워크가 대신 담당하게 되었고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어 프레임워크에 전달하면 알아서 그려줌.
  • View를 그리는 Model만 다루게 되었다는 의미로 ViewModel이라고 부르며 이 방식을 MVVM이라고 함.
  • 기존 MVC에서 컨트롤러의 반복적인 기능이 선언적인 방식으로 개선이 되고 Model과 View의 관점을 분리하려 하지 않고 하나의 템플릿으로 관리하려는 방식으로 발전.

MVC에서 MVVM으로 오면서 달라진 부분

  • 컨트롤러의 반복적인 기능이 선언적인 방식으로 개선 됨
  • Model과 View의 관점을 분리하려 하지 않고 하나의 템플릿으로 관리하려는 방식으로 발전.
  • 기존에는 class나 id등으로 간접적으로 HTML에 접근하려고 했다면 이제는 직접적으로 HTML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확장.

변화

  1. 생산성 증가 : 웹의 DOM API를 잘 다루지 못하더라도 비지니스로직에만 집중한다면 금방 금방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음
  2. 웹 서비스가 발전하게 되면서 이제는 하나의 Page단위가 아니라 Page안에 여러가지 모듈이 있고 Modal이나 여러 화면들이 하나의 화면에서 구성이 될 수 있도록 발전
    (컴포넌트 화)
  3. MVVM이 이제 화면단위가 아니라 조금 더 작게 재사용 할 수 있는 단위로 만들어서 조립을 하는 방식으로 발전

Component - Presenter

처음 이 패턴을 소개한 Dan Abramov는 2019년 기준으로 현재는 이 패턴을 사용하지 말라고 언급하고 있다. (출처)

2019년 업데이트 : 이 아티클을 예전에 썼었고 이제는 내 관점이 달라졌다. 특히 나는 더 이상 이런 방식으로 component를 나누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만약 자연스럽게 이 패턴의 필요성을 찾는다면 이 패턴은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필요성 없이, 독단적으로 이 패턴이 강제되고 있음을 여러번 보았다. 내가 이 패턴을 유용하게 보았던 주된 이유는 이 패턴이 다른 관점의 컴포넌트로부터 복잡하고 stateful한 로직을 분리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임의의 분리없이 Hook은 똑같은 일을 할 수 있다. 이 글은 역사적인 이유로 보길 바라며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마라.

필요했던 이유

  • 리액트의 컴포넌트는 상태, DOM, 이벤트 등 모두 관리할 수 있음. 리액트에서 자유롭게 컴포넌트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일수 있지만 컴포넌트간의 의존도가 높아졌을 때 코드 재사용이 불가능 해진다는 단점 존재
  • 컴포넌트 내에서도 추가적으로 레이어를 나눠 의존도를 낮출 필요성을 느낌
  • Hook의 등장 전이기 때문에 비즈니스 로직과 View를 분리 하기 위해 등장

개념

  • **presentational 컴포넌트**
    1. html, css, presentational component만 사용 가능
    2. app에 대해 완전히 몰라야한다. => 다른 app에서도 이 component를 사용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3. presentational과 container 모두를 내부적으로 가질 수 있다.
    4. 작은 레고 블럭처럼 가능한 작게 만들어야 한다.
    5. 상태를 가질 수 있지만 UI에 관련된 상태만 가질 수 있다.
    6. 필요 시 visual을 바꾸는 props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container 컴포넌트**
    1. 어떠한 동작을 할 것인가에 대해 책임진다.
    2. 절대로 DOM 마크업 구조나 스타일을 가져서는 안된다.
    3. presentational과 container 모두를 내부적으로 가질 수 있다.
    4. 주로 상태를 가지고 있다.
    5. side effects를 만들 수 있다. ex) db에 CRUD를 요청
    6. props를 자유롭게 받을 수 있다.

장점

  • 재사용성 ↑
    • 로직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presentational 컴포넌트는 그저 받아온 정보를 화면에 표현할 뿐이므로presentational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를 알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의존도가 낮아 다양한 container 컴포넌트와 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
  • 가독성 ↑
    • 기능과 UI가 명확히 분리되므로 개발자 입장에서 코드 구조에 대한 이해가 쉬워짐.
  • 마크업 작업 능률 ↑
    • presentational 컴포넌트는 layout 컴포넌트로 활용하여 반복되는 마크업 작업을 줄여 줄 수 있음.

단점

  • 컴포넌트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하위에 특정 값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중간 레벨에 있는 컴포넌트들은 전부 그 props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