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 변환 시 false가 되는 경우 -''(빈 문자열) -0 -NaN -false -null -undefined -document.all
테스트를 풀다보면 다양한 풀이법에 =>이런 문법이 나온다. 사실 나도 react를 공부하면서 사용했던 문법이지만 정확한 용도는 알지 못한 채로 사용했었다.=>이게 뭘까?찾아보니 Javascript ES6문법 중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라고 한다.func
filter 함수를 쓰면 배열을 하나씩 돌면서 3번이 실행이 된다.저기 value 어레이에 들은 각각의 아이템이다.그리고 함수가 return을 할 때 true 아님 false가 들어가는데 true일 경우에는 남겨두고 false일 경우에는 제외를 시키게 된다.위 코드를
Math.ceil()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숫자 중 가장 작은 숫자를 integer 로 반환한다.문법 형태는 아래와 같다.예시올림을 알아본 김에 Round(반올림), Floor(내림), Ceil(올림)에 대한 예시를 보자.ceil == 천장, floor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에서 for...of에 대해 배웠다.그때 내가 했던 질문이 있었다.이런 코드였고내가 가졌던 의문과 답은 이거였다.나의 의문이 해결되는 듯 했지만 다음 중복된 숫자 개수, 피자 나눠 먹기(1),짝수 홀수 개수에서 또 위에서 해결한 듯한 의문이 들었다
reduce() 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들을 순회하면서 반복적인 연산을 하는 메서드이다. 공식문서의 내용이 처음에 봤을 때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예시 코드를 들어가며 이해해보자.이렇게 하면 array 배열에 들어있는 애들의 총 합이 구해진다. 근데 저 어렵게 생긴 a
split은 '나뉘다'라는 뜻을 가진 메서드 답게 문자열을 일정한 구분자로 잘라서 배열로 저장한다.\-split()메서드는 문자열을 'separator'로 잘라서, 'limit' 크기 이하의 배열에 잘라진 문자열을 저장하여 리턴한다.\--필수 아님\--문자열을 잘라 줄
운전을 해 본 사람이라면 기어 변속기 옆에 R이라는 영어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후진할 때 기어를 R에 놓고 하는데 reverse의 약자로 후진, 즉 뒤집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오늘 배워볼 메서드는 reverse() 이다.reverse()는 배열의 순서를 반전시키는
join() 메서드는 배열의 모든 요소를 연결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든다.separator: 배열의 각 요소를 구분할 문자열을 지정한다. 이 구분자는 필요한 경우 문자열로 변환된다. 생략하면 배열의 요소들이 쉼표로 구분됩니다. separator가 빈 문자열이면 모든 요소
replace() 메서드는 어떤 패턴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이 교체된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그 패턴은 문자열이나 정규식(RegExp)이 될 수 있으며, 교체 문자열은 문자열이나 모든 매치에 대해서 호출된 함수일 수 있다.라고 하는데 정규식... 너무 어렵다
리액트 강의를 듣는데 concat메서드가 나왔다. concat은 연결이라는 뜻의 단어로 배열이나 값들을 기존 배열에 합쳐서 새 배열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두 가지 특징이 있다.1\. 기존 배열을 변경하지 않는다.2\. 추가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한다.배열 두 개 이어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