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it은 '나뉘다'라는 뜻을 가진 메서드 답게 문자열을 일정한 구분자로 잘라서 배열로 저장한다.
string.split(separator, limit)
-split()메서드는 문자열을 'separator'로 잘라서, 'limit' 크기 이하의 배열에 잘라진 문자열을 저장하여 리턴한다.
--필수 아님
--문자열을 잘라 줄 구분자 (문자열 또는 정규식)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를 배열에 담아서 리턴합니다.
--필수 아님
--최대 분할 갯수
let string = "Hello World";
let array = string.split();
console.log(array); //['Hello World']
console.log(array.length); //1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를 length 1인 배열에 담아서 리턴.
let string = "Hello World";
let array = string.split(" ");
console.log(array); //['Hello', 'World']
console.log(array.length); //2
console.log(array[0]); //Hello
console.log(array[1]); //World
separator로 " "(스페이스)를 지정하면, 문자열을 구분자로 잘라서 각각의 잘라진 조각들을 배열에 저장하여 리턴.
let string = "Hello World yeah";
let array = string.split("", 2);
console.log(array); //['H', 'e']
console.log(array.length); //2
console.log(array[0]); //H
console.log(array[1]); //e
console.log(array[2]); //undefined
각각의 문자를 잘라서 한 글자씩(공백 포함) 배열에 저장하여 리턴 & 위의 예제의 length는 16이지만 limit값을 2로 지정하여 2개의 배열만 생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