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DB 공부하기 전에 프로젝트 환경 설정을 합니다.

JDBC는 왜 등장했을까요? JDBC가 등장하면서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JDBC를 활용해서 간단한 등록, 조회, 수정, 삭제를 개발하고 테스트 코드까지 만들어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Driver Manager를 쓰게 되면 데이터 베이스 커넥션을 매번 획득해야 합니다. 이는 응답 속도에 영향을 주고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커넥션 풀로 해결해봅시다

커넥션을 얻는 방법은 JDBC DriverManager를 직접 사용하거나,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커넥션을 얻는 방법을 변경할 때 DataSource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변경 가능합니다.

세션 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아직 세션 1이 커밋을 수행하지 않았는데, 세션 2에서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정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많은 문제가 생깁니다.

트랜잭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JDBC 기술에 의존하다가 JPA같은 다른 데이터 접근 기술로 변경하면 서비스 계층의 트랜잭션 관련 코드도 모두 함께 수정해야 합니다.

이전 글에서 트랜잭션 추상화를 공부했습니다. 이번에는 트랜잭션 동기화를 공부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