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척학사 프로젝트를 마이그레이션 하기 위해 Supabase를 공부합니다.
Kakao 소셜 로그인 공식 문서를 정리한 글 Kakao 소셜 로그인을 이해하자 서론 척척학사 서비스 인증/인가 구현을 마무리했다. Spring Security를 활용한 카카오 소셜 로그인으로 회원가입 로직을 구현했다. OIDC를 활용해 ID Token을 사용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을 한다. 이건 일반적인 OAuth 2.0과 JWT를 이용한 인증/인...

엔티티 연관관계 정리 및 기존 문제점 분석

하나의 API 응답 모듈에 성공/실패 응답이 통합되어 있던 구조를 성공 응답, 실패 응답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무중단 배포를 척척학사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자.

"Next.js로 돌아가는 서버를 Spring으로 전부 갈아엎어야 합니다", 2025년 3월, 척척학사 팀에 합류했을 때 받은 첫 과제는 백엔드 서버 마이그레이션이었다.

지난 마이그레이션 회고에서 다음 개선 과제로 ‘크롤링 로직 비동기 처리’를 언급했어요. 당시에는 비동기 처리로 UX를 개선할 수 있을 거라 기대했지만, 실제로 구현을 고민해보니 현재 구조에서는 실익이 크지 않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어요.

척척학사 BE 서버의 모니터링 방식을 ELK(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에서 Grafana-Loki-Stack으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척척학사는 데이터가 수강신청 기간에만 변경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해당 글은 해당 특징을 살려 Redis 캐싱 전략을 도입하는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복수전공생도 척척학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졸업요건 계산 로직을 개선한 과정을 소개합니다.

3월 중순, 평소 알고지내던 동아리 친구에게 연락이 왔다. "상민아 '척척학사'에 백엔드 개발자로 프로젝트 참여할 생각있어?"

AWS EC2 디스크 용량 부족 문제 해결

척척학사 CI/CD 적용 과정 정리 With GitHub Actions

척척학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중복 키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이 글은 '중복 키 에러' 발생 과정과 해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척척학사를 운영하면서, 포털 데이터를 연동하는 과정에서 크게 두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글은 두 문제으 트러블 슈팅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중복 쿼리 제거, Fetch Join, Redis 캐싱을 통해 Spring Boot API 응답 속도를 최대 96%까지 개선한 1차 성능 리팩토링 기록입니다.

척척학사에서 소셜 로그인 사용자의 이메일 변경이나 provider 변경(예: 카카오 → 애플) 시 발생하는 중복 계정 및 UNIQUE 제약 오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SocialAccount 테이블 도입을 중심으로 구조 개선 과정을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