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컴퓨터, 어떻게 똑똑해졌을까? – 계산기에서 멀티태스커로 1) 🧠 단순했던 컴퓨터, 점점 복잡해진 설계 4장까지는 CPU가 메모리와 I/O 장치와 어떻게 소통하는지 간단한 구조를 살펴봤어요. 하지만 현실 속 컴퓨터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아요. 빠르고,
CPU가 너무 빠른 탓에, 메모리가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해 등장한 게 바로 ‘캐시 메모리’입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캐시의 개념, 작동 원리, 구조, 정책, 성능 요소, 그리고 Apple Silicon까지 단계별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봅니다!
8화. 멀티코어는 팀플이다: 캐시 일관성과 MESI 프로토콜 우리는 이전 화에서 캐시의 계층 구조를 살펴봤고, 멀티코어 환경에서는 각 코어가 자신의 L1, L2 캐시를 독립적으로 가진다고 했죠. 그런데 이때 하나의 메모리 주소를 여러 코어가 캐시에 저장한다면, 데이터
자, 상상해봅시다. 오늘은 집에 혼자 있는 날이고, 당신은 주방에서 맛있는 초콜릿 칩 쿠키를 만들고 있어요. 반죽기에서 버터를 녹이고, 설탕을 넣고, 재료를 하나하나 섞으며 레시피를 따라가죠. 그런데 이때… 🛎️ “딩동!”문 앞에서 누군가 초인종을 눌렀습니다. 중요
MMU(Memory Management Unit)는 컴퓨터 메모리를 훨씬 더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마법 같은 장치입니다. 주기억장치관리의 핵심은 '메인 메모리를 어떻게 잘 관리할 수 있을까'에 있습니다.메모리를 좀 더 자세히과거에는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
여러분, 컴퓨터가 단지 계산만 하는 도구라고 생각하셨나요? 사실 컴퓨터는 외부 세계와의 대화를 위해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사람과 대화하고, 공장을 움직이고, 센서로 데이터를 수집하며,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도 하죠.
🌐 컴퓨터는 어떻게 세상과 연결됐을까? > 회선에서 패킷까지, 네트워크의 진화 이야기 🧒 “아빠, 와이파이가 안 돼요!” 언젠가 딸아이가 무심코 던진 한마디. “와이파이가 안 돼요.” 그 말을 들은 나는 잠시 고민에 빠졌어요. > “정확히 말하면, 네 와이파이
컴퓨터 구조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주 등장하는 주제가 있습니다. 바로 '메모리'. 3장에서는 DRAM, 플래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접근 속도 차이를, 5장에서는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가 얼마나 성능에 큰 차이를 내는지에 대해 배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