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된 수에 따라 자녀들이 정렬된다.
root: 최상단의 부모값, leaf: 최하단 자녀값
M: 각 노드의 최대 자녀수 → 기준 (자녀수M에 따라 M차 B-Tree라 불리운다.)
M-1: 각 노드의 최대 key 수
M/2(올림): 각 노드의 최소 자녀수 (root, leaf에서 제외)
M/2(올림)-1: 각 노드의 최소 key 수(root에서 제외)

M/2(올림): 각 노드의 최소 자녀수 (root, leaf에서 제외)
M/2(올림)-1: 각 노드의 최소 key 수(root에서 제외) → 기준으로 정렬
ex) 3차 트리에서 2-1=1로 최소 key 수는 1이다.
- 삭제는 leaf에서 한다.
- 삭제 후 key 최소 key수 보다 작으면 재조정
→ 재조정 방법
1. key수가 여유있고 인접해있는 형제 노드에게 지원 받는다. (지원시, 부모를 거쳐서 받는다. 그림참조!!)
2. 1번 불가 시, 부모에게 지원을 무조건 받고, 형제랑 합친다!
3. 2번 후 부모에게 문제가 생길 시 여기서 위의 내용을 다시 수행하여 재조정한다.




internal 노드(leaf 노드가 아닌 노드)를 삭제하려면 leaf노드에 있는 데이터랑 위치 바꾸고 삭제.
→ 누구랑 위치를 바꾸는가? 삭제할 데이터의 직전 선임자나 후임자랑 바꿔준다.
왜? internal 노드는 선임자와 후임자랑 바꿀까?
→ 트리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쓴다.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모든 과정에서 적절한 대소 관계인지 확인하고 틀리다면 수정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