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빈을 등록하고, 등록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아라보자!프로젝트 내에 resources파일 밑에 Spring Config xml파일을 만든다.xmlFile
bean 을 주입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필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만 붙여주면 마법처럼 해당 타입의 bean을 주입 받을 수 있다.필드 인젝션의 특징간단함 (장점)@Autowired(required=false) 옵션을 주면 해당 bean은 없으면 주입
말그대로 빈이 사용되어지는 범위(?)인데, 빈이 앱이 구동되는 동안 한개만 만들어서 쓸 것인지 HTTP요청마다 생성해서 쓸 것인지 등등를 결정하는 것이 스코프임. 보통의 스프링 빈은 스프링 앱이 구동 될때 한번에 ApplicationContext에서 한 번에 모두 생성
profile은 개발환경의 profile로 개발환경, 테스트환경, 서비스환경마다 다르게 프로필을 정의해서 설정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기능임.ApplicationContext 안에는 Environment타입의 필드가 있는데, context.getEnvironment()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EventPublisher라는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이벤트 처리를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옵저버 패턴의 구현체 임.ApplicationContext는 ApplicationEventPublisher를 상속
시작하기 전에 JSR-303 Validator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dependency를 pom.xml에 추가해야 한다.Validator 인터페이스는 두가지 메서드를 정의하는데, supports메서드와 validate메서드이다.supports는 검증하고자 하는 객
객체 그래프를 조회하고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Unified El과 비슷하지만, 메소드 호출을 지원하며 ,문자열 템플릿 기능도 제공OGNL, MVEL, JBOss EL 등 자바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EL이 있지만 SpEL은 모든 스프링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서 사용 가능
AOP란?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여러 객체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따로 정의해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프로그래밍 기법임. AOP의 기본적인 개념은 따로 정의항 공통 기능을 다른 객체에 삽입하는 것이다.
Spring AOP - 프록시 기반 AOP 1부에서 설명했듯이, Spring AOP는 runtime weaving으로 AOP를 구현하기 때문에 프록시를 만들어서 AOP를 구현한다. 스프링 빈을 생성할때 프록시도 생성하기 때문에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지만 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