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연산자 표>
연산자 | 의미 |
---|---|
+ | 더하기 |
- | 빼기 |
* | 곱하기 |
/ | 나누기 |
% | 나머지 |
코딩에서는 기본연산자를 이러한 기호로 나타낸다!
나머지 이외의 기호들은 실생활에서 많이 접해보았기에 익숙하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어디에 쓸까?(생각보다 유용하고 자주쓰인다🤓)
이는 홀수와 짝수를 구별하는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다.
홀수는 X로 2를 나누었을 때 1이 나오고
짝수는 Y를 2로 나누었을 때 0이 나온다.
2로 나눈 나머지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홀수,짝수를 알 수 있다.
X%5=0~4 사이의 값만 반환
거듭제곱(**): * 곱하기에 해당하는 별을 두번 적어주면 됨!
const num = 2**3;
console.log(num); //8
2**3 2의 3승은 8이므로 8을 반환한다!
🔖 우선순위
* / > + - // 곱하기,나누기> 더하기,빼기
곱셈과 나눗셈은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순위가 더 높다!
원하는 값을 얻기 위해서는 괄호를 적절히 사용할것!
⌨︎ 입력
// 연산자 줄여서 쓰기
let num = 10;
// num = num + 5;
num += 5;
console.log(num);
💻 실행결과
15
// num = num + 5;를
num += 5;라고 줄여서 쓸 수 있다! [값은 15로 동일하다]
num이 10인데 거기에다 5를 더한 값을 다시 num에 넣어줌! (변수에 5를 증가시켜 다시 그 변수에 넣어줌)
증가 연산자와 감소 연산자: 값을 1만큼 증가, 감소 시킨다.
사용방법:
+를 두번 적어주기 ++
-를 두번 적어주기 --
⌨︎ 입력(증가연산자)
// 증가 연산자, 감소 연산자
let num = 10;
num++;
console.log(num)
💻 실행결과
11
⌨︎ 입력(감소연산자)
// 증가 연산자, 감소 연산자
let num = 10;
num--;
console.log(num)
💻 실행결과
9
두개의 +를 뒤에 쓰느냐 앞에 쓰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입력(+를 앞에 썼을 경우)
let num = 10;
let result = ++num;
💻 실행결과
11
앞에 쓸 경우, 1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 입력(+를 뒤에 썼을 경우)
let num = 10;
let result = num++;
console.log(result);
💻 실행결과
10
뒤에 쓸 경우, 변화가 없고 그대로 이다.
++를 뒤에 적으면 증가시키기 전의 값을 result 안에 넣기에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를 앞에 적으면 증가시킨 값을 result에 넣어 1이 증가한다.
차이점을 잘 이해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