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Ethernet) -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프레임 구조 | 네트워크(3)

PUREUN KANG·2025년 6월 15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3/3

이더넷(Ethernet)과 물리계층 & 데이터링크계층

두 계층은 이더넷이라는 공통 기술을 사용한다

이더넷은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더넷 (Ethernet)

  •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식 등을 정의

케이블

  • 송신자와 수신자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매체

이더넷 표준

유선 LAN 환경 구축 시

  • 물리계층: 이더넷 규격의 케이블 사용
  • 데이터링크계층: 이더넷 프레임 형식 사용

IEEE 802.3

  • 이더넷 관련 기술은 국제조직인 전기전자공학자협회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에서 표준화
  • IEEE 802.3:
    • 다양한 이더넷 표준들의 모음
    • 동시에 이더넷 표준화를 담당하는 전문가 단체인 Ethernet Working Group 의 이름이기도 함

표준 표기법

  • 표준 이름: 802.3 + 알파벳
  • 표준에 따라 지원 네트워크 장비, 통신 매체 종류, 전송 속도 등이 달라짐

통신 매체 표기 형태

구분의미
전송 속도 (Data Rate)
숫자만 표기Mbps 속도
숫자 + G 표기Gbps 속도
베이스밴드 (BASE)
BASEBASEband의 약자 (변조 타입 의미)
변조 타입 (Modulation Type)
-데이터를 비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매체로 전송하는 방법
그 외
BROADband / PASSband다른 변조 방식

추가 특성 (Additional Distinction)

  • 통신 매체의 특성 명시
    • 전송 가능한 최대 거리
    • 물리계층 인코딩 방식 (비트 신호 변환 방식)
    • 레인 수 (비트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로 수)

통신 매체 종류 & 추가 특성 표기

이더넷 표준에서는 통신 매체의 종류와 특성을 간략하게 표기한다.

케이블 종류 및 표기

표기케이블 종류설명
C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T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구리선을 서로 꼬아 만든 케이블
S단파장 광섬유 케이블Short-wavelength Fiber
L장파장 광섬유 케이블Long-wavelength Fiber (빛 이용)

참고

  • 트위스티드 페어 (T): 대부분의 유선 LAN 환경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리선 케이블

  • 광섬유 (S, L): 고속 전송이나 장거리 전송에 활용

  • 동축 케이블 (C): 초기 이더넷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이더넷 표준과 통신 매체 예시

케이블 표기 예시

표기설명
10BASE-T10Mbps 속도를 지원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1000BASE-SX10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단파장 광섬유 케이블
1000BASE-LX10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장파장 광섬유 케이블

주의: 이더넷 표준과 통신 매체 표기가 항상 일대일 대응하는 것은 아님.


이더넷 표준 규격과 통신 매체 대응표

표준 규격통신 매체 표기
IEEE 802.3i10BASE-T
IEEE 802.3u100BASE-TX
IEEE 802.3ab1000BASE-T
IEEE 802.3bz2.5GBASE-T, 5GBASE-T
IEEE 802.3an10GBASE-T
IEEE 802.3z1000BASE-SX, 1000BASE-LX
IEEE 802.3ae10GBASE-SR, 10GBASE-LR

이더넷 속도 발전 흐름

  • 초기 이더넷 (Ethernet): 10Mbps
  • 고속 이더넷 (Fast Ethernet): 100Mbps
  • 기가비트 이더넷 (Gigabit Ethernet): 1Gbps
  • 10기가비트 이더넷 (10 Gigabit Ethernet): 10Gbps

이더넷 프레임 (Ethernet Frame)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이더넷 프레임 형식으로 정의되어 있다.

  • 캡슐화 (Encapsulation) 과정에서 생성됨
    •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아온 데이터를 받아, 헤더와 트레일러를 덧붙여 프레임 완성
  • 역캡슐화 (Decapsulation) 과정에서 헤더와 트레일러 제거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

이더넷 프레임 구성

구분내용
프레임 헤더프리앰블, 수신지 MAC 주소, 송신지 MAC 주소, 타입/길이
페이로드상위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
트레일러FCS (Frame Check Sequence)

프리앰블 (Preamble)

  • 수신자가 프리앰블을 통해 프레임의 시작을 인식
  • 송수신 간 동기화 정보
  • 구성:
    • 앞 7바이트: 10101010 반복
    • 마지막 1바이트: 10101011

수신지 MAC 주소 / 송신지 MAC 주소

  • MAC 주소 (물리적 주소, 하드웨어 주소)
  • 데이터링크 계층의 핵심 주소 체계
  • 특징:
    • 6바이트 (48비트)
    • 16진수 12자리로 표기
    • 일반적으로 고유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마다 부여됨
    • 한 컴퓨터에 NIC가 여러 개면 MAC 주소도 여러 개 존재 가능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중복되면 송수신지 특정이 불가능하므로 중복이 없어야 함

MAC 주소 확인 방법

  • Windows:
    • 명령 프롬프트 → getmac /v 또는 ipconfig /all
  • MacOS:
    • 터미널 → ifconfig 입력

타입 / 길이 (Type / Length)

  • 해당 필드에는 타입 (Type) 혹은 길이 (Length) 가 올 수 있다.

타입 (Type)

  • 이더넷 프레임이 어떤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담고 있는지 표시
  • 이더타입 (Ethertype) 이라고 부름
  • 예시:
    • 0x0800: IPv4
    • 0x86DD: IPv6
    • 0x0806: ARP

타입/길이 필드의 값에 따른 구분

타입/길이 필드에 들어가는 값에 따라 해당 필드의 의미가 달라진다.

값의 범위의미비고
1500 이하 (16진수 05DC)프레임 길이 (Length)프레임의 전체 크기를 나타냄
1536 이상 (16진수 0600)이더타입 (Type)캡슐화된 상위 계층 프로토콜 종류

참고

  • 이더넷 표준상 1500바이트는 페이로드의 최대 크기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 1536부터는 이더타입으로 사용하기 위해 값의 충돌을 피해서 구분됨
  • 이 구분 방식 덕분에 타입/길이 필드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음

페이로드 (Data)

  •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거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할 데이터 포함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 네트워크 계층 헤더 가 포함됨 (PDU: Protocol Data Unit)

크기 규칙

구분내용
최대 크기1500바이트
최소 크기46바이트 이상이어야 함
패딩 (Padding)데이터가 46바이트보다 작으면 남는 공간을 0으로 채워 패딩 처리

FCS (Frame Check Sequence)

  •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의 오류 여부 검출을 위한 필드
  • CRC (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검사) 값 포함

동작 과정

  1. 송신지 측:
    • 프리앰블 제외 나머지 필드값으로 CRC 값 계산 → FCS 필드에 삽입
  2. 수신지 측:
    • 수신한 프레임에서 프리앰블과 FCS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값으로 CRC 재계산
    • 재계산한 CRC 값과 FCS에 들어있는 값을 비교
  3. 결과:
    • 일치 → 정상 수신
    • 불일치 → 오류 발생 → 해당 프레임 폐기

참고: 토큰 링 (Token Ring)

  • 이더넷 외에 과거 사용되던 다른 LAN 기술
  • 호스트들이 고리형(링 형태) 으로 연결
  • 토큰 (Token) 이라는 특별한 제어 정보를 순서대로 주고받음
  • 토큰을 가진 호스트만 네트워크에 데이터 전송 가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