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corruption Layer pattern이란? 먼저 간단하게 이 패턴을 설명하자면, 시스템 모던화와 같은 서비스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진행시, 서비스 앞에 파사드 레이어와 같은 특정 레이어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해주는 패턴이라고 짧게
Asynchronous Request-Reply Pattern 이란? 이전에 우리가 사용하던 서비스들의 환경은 주로 synchronize 된 환경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사진을 업로드 하여 인코딩 이후 보관 및 공유하는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조금 앞쪽 부분인
구조 관련 미팅을 하다보면 정말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sa들은 찰떡같이 알아듣는 단어들이 있다.webwasdbfrontendbackendweb tierbusiness tierdata tier그럼 이제 줄을 세워보자위와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보통 인프라쪽 설계관
메시지가 너무 큰가요? >은근 이러한 니즈가 실제 프로젝트에서 흔하게 일어난다.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또한 마찬가지다. 작년 가을이나 겨울 즈음에 이러한 니즈가 있었고, 그때는 Claim-Check pattern에 대해 정확하게 몰라서, 개발자분들과 더듬더듬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툴들은 설정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는 웹서버에서 사용되는 html, css, js 파일들 또한 scaling out 되어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정적 파일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이렇게 scaling out 되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설정 파일!? IT 솔루션을 관리하고 설계하다보면 설정 파일 같은 부분들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역할을 하는 VM을 여러대 운영한다고 할 때, 설정 값들을 바꿔야 하는 경우가 올 수도 있다. 물론 그런 경우는 드물지만
사실 leader election 하면 웬지 Aapche Zookeeper나 etcd만 생각나고 어디에 써먹어야 할지 애매하게 다가올 수도 있다. 오늘 일하면서 동료와 함게 이야기 하던 중 손쉽게 써먹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기록으로 남긴다. 만약 아래에 나오는 요구사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는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읽기와 쓰기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패턴이다.쇼핑몰 주문 시스템이라고 가정하였을 때,Command고객이 주문 생성 요청주문 내역은 rdb에 저장주문 생성 이벤트는 m
SAGA 패턴은 뭘까? msa 환경에서 분산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한 패턴이다. 모놀리식 앱에서는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었지만 msa 환경에서는 각 서비스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기에 분산 트랜잭션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기가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