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모터 사용해 기계식 회전
주변 레이저 발사 각도 변경
장점)
넓은 범위의 스캐닝 수행
단점)
진동 등에 의한 내구성 문제 발생
Optical Phased Array 배열 안테나 구조 이용
안테나 원소의 위상 조절 -> 원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발사, 송신
장점)
고정식으로 진동 등에 크게 영향 없음
단점)
Optical Phased Array 구조로 레이저의 송신 파워 분산으로 장거리에 어려움
따라 자율주행에 사용하기 어려움
반사 거울을 전자식으로 제어해 넓은 영역 스캐닝이 가능한 라이다
장점)
레이저의 장거리 도달 가능
단점)
진동, 저온에 취약함
라이다 센서 데이터
= 레이저가 반사되어 온 결과물
3차원 점의 집합으로 3차원 공강에서의 물체 표면을 나타냄
3차원 공간에서의 동적, 정적 물체 검출 및 추적
차량 전방 등의 환경에 대한 거리 측정이 가능
고정밀 지도 생성 및 맵매칭을 통한 측위 가능
라이다 기반 3차원 물체 검출
물체의 3차원 위치 정보 제공
3차원 바운딩 박스 형태 제공 : 3차원 박스 형태의 좌표, x-y축의 회전 각도
자율주행차를 하늘로부터 바라봤을 때의 영역인 조감도 영역에서의 2차원 박스 형태 제공
자율주행에서
경로 계획 및 판단 시 정확한 3차원 동적 개체의 위치 정보 제공
3차원 거리 측정 정보 제공으로 정확한 검출 가능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 순서대로 정렬되지 않은 포인트들의 집합
2차원 배열로 이루어진 데이터와 다른 구조, 기존의 CNN 구조를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음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물체 특징값 추출 방법
포인트들을 전방 또는 조감도 영역으로 직접 투영하여 새로운 2차원 데이터를 만들어냄
양자화로 인한 성능저하로 최근 사용이 감소
3차원공간을 작은 3차원 큐브인 복셀구조로 잘게 나누어 3차원 포인트들이 각 복셀의 포인트로 나누어짐
각 복셀에 있는 포인트들을 따로 인코딩 -> 포인트넷 딥러닝 방법 사용 -> 인베딩 벡터(3차원 복셀 구조 안에 포인트넷으로 인코딩한 벡터) 포함 형태로 포인트 클라우드 표현
전체의 포인트 클라우드 집합에 포인트넷 적용 -> 배경에 해당하는 포인트와 물체의 포인트 분리 -> 물체에 해당하는 포인트들을 선택하여 물체에 대한 포인트 추출
단점)
복잡도 높음
장점)
복셀 기반에서 발생하는 누설없이 정확한 포인트 추출 가능
라이다 기반 3차원 물체 추적
현재 검출된 물체와 추적중인 물체 -> 라이다 포인트 데이터 추출 -> 포인트넷 적용 -> 특징값 추출 -> CNN 네트워크 적용 -> 유사도 판별 -> 선형 프로그램의 최적화 기법 적용 -> 검출 결과 연결
포인트넷을 적용하여 얻은 특징 + 물체의 시간적인 움직임 정보(LSTM 네트워크 이용)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 모델(GNN)사용 -> 정확한 검출결과 연결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