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네트워크까지의 도달 경로를 알기 어렵다.
MAC 주소로 호스트를 트겅하기 어렵다.
MAC 주소 | IP 주소 |
---|---|
물리 주소 | 논리 주소 |
NIC마다 할당(고정 주소) | DHCP or 사용자가 직접 할당 |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IPv4와 IPv6만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IPv4만 정리할 예정이다.
기능
IPv4
4byte로 표현
패킷 구조
영어 | 한국어 | 역할 |
---|---|---|
Identifier | 식별자 | 패킷에 할당된 번호 패킷이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 전송된 경우 어떤 메시지에서부터 쪼개졌는지 인식하기 위한 용도 |
Flags | 플래그 | 순서대로 0 DF MF 비트로 구성된 필드 DF(Don't Fragment): 1이면 단편화 불가 / 0이면 단편화 가능 MF(More Fragment): 1이면 쪼개진 패킷이 더 있음 / 0이면 마지막 패킷 |
Fragment offset | 단편화 오프셋 | 초기 데이터에서 몇 번째로 떨어진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필드 |
TTL(Time to Live) | - | 패킷이 하나의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 한 홉(hop)마다 1씩 감소 무의미한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함 |
Protocol | 프로토콜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e.g.) TCP는 6번, UDP는 17번 |
IP 주소를 통해 MAC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처리 과정
호스트 A가 호스트 B의 MAC 주소를 알고싶어하는 상황
만약 호스트 A와 B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다면?
⇒ ARP 테이블에는 라우터의 MAC 주소가 저장된다.
클래스풀 주소 체계 보다 정교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8bit 단위로 네트워크/호스트 주소가 구분되지 않고 원하는 크기로 잘게 쪼개어 사용할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로 서브네팅하기
10진수 | bit | |
---|---|---|
IP 주소 | 192.168.219.103 | 11000000.10101000.11011011.01100111 |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AND 연산의 결과 (네트워크 주소) | 192.168.219.0 | 11000000.10101000.11011011.00000000 |
CIDR 표기법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CIDR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수 |
---|---|---|---|---|
192.168.219.130 | 255.255.255.0 | 192.168.219.130/24 | 192.168.219.0 | 28 - 2 = 254개 |
192.168.219.130 | 255.255.255.128 | 192.168.219.130/25 | 192.168.219.128 | 27 - 2 = 126개 |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주소를 말한다.
LAN 내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를 말하며 라우터(router)가 할당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거쳐 공인 IP로 변경 ⇒ 외부 호스트와 통신한다.
e.g.) 171.16.0.0/12, 168.192.0.0/16
DHCP로 IP 할당하기
라우팅이라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패킷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이다. 집에 있는 공유기가 라우터의 역할을 한다.
라우팅 테이블에선 아래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적 라우팅은 사용자가 직접 라우팅 테이블을 채워 넣어 라우팅되는 방식을 말한다.
동적 라우팅은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활용하는 방식이다.
AS 내부에서 수행되는 지 여부에 따라 라우팅 프로토콜이 나뉜다.
AS 내부에서 수행되면 IGP, 외부에서 수행되면 EGP라고 한다.
AS(Autonomous System)란?
하나의 관리 도메인 안에 있는 라우터의 집합을 AS라고 한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