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charmhttps://intellij-support.jetbrains.com/hc/en-us/community/posts/360001761179-Inspection-for-Optional-types이런 명백한 실수 하나 못잡는 IDE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날짜 데이터를 week of month를 normalize 해서 사용중인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chrono (datetime 라이브러리)에서는 week 관련 api로 isoweek만을 제공하길래 다음과 같이 식을 세웠다.입력: Y년 M월 D일출력: Y년 M월 D일이 M월
https://hyperconnect.github.io/2022/02/28/gerrit-code-review-introduction.html(내가 쓴 글이다)github에서는 refs/heads/\*, refs/tags/\* 이 업데이트 되었을때만 github
https://arxiv.org/abs/2201.12417(페이퍼는 자세히 읽어보진 않았지만 대충 요약)흠.. td error를 minimizing 하는것은 suboptimal solution이 너무 많아서 value function을 최적화하는데 큰 도움이
빠르고 발열이 없다.근데 이전 맥북의 데이터를 잃는게 두려워 마이그레이션을 했는데 실수로 /usr/local까지 다 복사해버려서 상당한 x86_64 바이너리가 딸려왔다. Rosetta를 설치하면 아무런 티도 안내고 x86_64 바이너리를 실행시켜주기 때문에 내 시스템에
Tauri (https://tauri.studio/)를 이용하면 Web Frontend - Rust Backend의 앱을 개발할 수 있다. electron과 달리 chrome을 내장하지 않고 시스템 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앱이 디스크와 메모리 용량을 적게 차지
원래 기본 MacOS에서 제공되는 터미널 앱을 쓰다가 우연히 Rust로 씌여진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써봤는데 정말 렌더링 속도가 빨라서 맘에 들었다. 처음에는 Warp를 써봤는데 input box를 따로 분리해둔게 너무 불편했다. 다음으로는 구글링으로 Alacritty를
이번에 개인적으로 로컬에 셋업해서 사용하고 있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니터링 스택을 재설치할 일이 생겼다. 기존에는 Elasticsearch + Fluent-bit + Kibana (EFK) 스택을 셋업해서 쓰고 있었는데, elasticsearch랑 kibana
개인 프로젝트에서 COM object 형태로 제공되는 API를 사용할 일이 있는데, 처음에는 Vagrant Cloud에 있는 docker-windows box를 이용해서 windows 쿠버네티스 노드를 셋업해서 사용했었다. 그리고 여러가지 이유로 윈도우즈를 쓰기 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