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론(argument)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바탕으로 새로운 명제가 참이 되는 것을 유인하는 방법
주어진 명제들인 p1, p2 ... pn을 전제(premise)라 함
새로이 유도된 명제4를 결론이라고 함
유효추론(valid argument)
주어진 전제가 참이고 결론도 참인 추론
허위추론(fallacious argument)
추론의 결론이 거짓
추론법칙 | 법칙이름 |
---|---|
p, q(결론) ∴ p->q (전제) | 긍정법칙(modus ponens) |
~q, p->q, ∴ ~p | 부정법칙(modus tollens) |
p->q, q->r, ∴ p->r | 조건삼단법칙 |
p∪q, ~p, ∴ q | 선인삼단법칙 |
(p->q)∩(r->s), p∪r, ∴ (q∪s) | 양도법칙 |
(p->q)∩(r->s), ~q∪~s, ∴ ~p∪~r | 파괴적법칙 |
p, ∴ p∪q | 선전법칙 |
p∩q, ∴ p | 분리법칙 |
p, q, ∴ p∩q | 연접법칙 |
ex) p: 오늘은 비가 온다. q: 나는 공부를 한다.
-> 오늘 비가오면 나는 공부를 한다.
-> 오늘은 비가온다.
-> 그러므로 나는 공부를한다.
(a) 긍정법칙
p(참), p->q, ∴ q(참)
(b) 부정법칙
~q(참), p -> q(거짓), ∴ ~p(참)
(c) 삼단법칙
p->q, q->r, ∴ p->r
p | q | p->q |
---|---|---|
T | T | T(성립) |
T | F | F |
F | T | T |
F | F | T |
예) x²+5x+6=0 이라는 명제는 x의 값이 -2 또는 -3일 경우에는 참의 값을 가지고 그 외에는 거짓의 값을 가진다. 이런 경우 우리는 x²+5x+6=0을 만족시키는 변수가 있다고 표현한다.
∀xP(x) == 모든 x에 대해 P(x)가 성립
∃xP(x) == 어떤 x에 대해 P(x)가 성립
(1) ∀x[x<x+1] -> T
(2) ∀x[x=3] -> F
(3) ∀x[x>x-3] -> T
(1) ∀xP(x) -> 거짓
(2) ∃xP(x) -> 참
1) ∃xP(x,y) -> P(x,y)를 성립하는 어떤 x가 있다.
2) ~(∀x(P(x)) -> 모든 x가 P(x)를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3) ∃y(∀xP(x,y)) -> 모든 x가 P(x,y)를 성립하는 어떤 y가 존재한다.
~(∀xP(x)) ⇔ ∃x(~p(x))
~(∃xP(x)) ⇔ ∀x(~P(x))
(1) 모든 학생은 공부한다.
-> 공부하지 않는 학생도 있다.
~(∀xP(x)) ⇔ ∃x(~P(x))
(2) 공부를 하는 학생이 존재한다.
-> 모든 학생은 공부하지 않는다.
~(∃xP(x)) ⇔ ∀x(~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