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3장 : 7번째 데이터 타입 Symbol 

박새롬·2024년 4월 7일
0
post-thumbnail

33.1 심벌이란?

  • 심벌은 ES6에서 도입된 7번째 데이터 타입으로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이다.
    • 심벌 값은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이다.
    • 따라서 주로 이름의 충돌 위험이 없는 유일한 프로퍼티 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33.2 심벌 값의 생성

33.2.1 Symbol 함수

  • 심벌 값은 Symbol 함수를 호출하여 생성한다.
    • 이ㄷ 때 생성된 심벌 값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으며,
    • 다른 값과 절대 중복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이다.
    • Symbol 함수는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지 않는다.
    •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 또는 클래스를 호출하면 객체(인스턴스)가 생성되지만 심벌 값은 변경 불가능한 원시 값이다.
  • 심벌 값에 대한 설명이 같더라도 생성된 심벌 값은 유일무이한 값이다.
    • 심벌 값도 문자열, 숫자, 불리언과 같이 객체처럼 접근하면 암묵적으로 래퍼 객체를 생성한다.
    • 심벌 값은 암묵적으로 문자열이나 숫자 타입으로 변환되지 않는다.
    • 단 불리언 타입으로는 암묵적 타입으로 변환된다.

33.2.2 Symbol.for / Symbol.keyFor 메서드

  • symbol.for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문자열을 키로 사용하여
  • 키와 심벌 값의 쌍들이 저장되어 있는 전역 심벌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키와 일치하는 심벌 값을 검색한다.
    • symbol 함수는 호출될 때마다 유일무이한 심벌 값을 생성한다.
  • symbol.keyFor 메서드를 사용하면 전역 심벌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심벌 값의 키를 추출할 수 있다.

33.3 심벌과 상수

  • 예를들어, 4방향. 즉 위, 아래, 왼쪽, 오른쪽을 나타내는 상수를 정의한다고 생각해보자
    • 위 예제와 같이 값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고 상수 이름 자체에 의미가 잇는 경우가 있다.
    • 이때 문제는 상수 값 1,2,3,4가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변수 값과 중복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경우 변경/중복될 가능성이 있는 무의미한 상수 대신 중복될 가능성이 없는 유일무이한 심벌 값을 사용할 수 있다.

33.4 심벌과 프로퍼티 키

  • 객체의 프로퍼티 키는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심벌 값으로 만들 수 있으며,
  • 동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 심벌 값은 유일무이한 값이므로 심벌 값으로 ㅍ로퍼티 키를 만들면 다른 프로퍼티 키와 절대 충돌하지 않는다.

33.5 심벌과 프로퍼티 은닉

  • 심벌 값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여 생성한 프로퍼티는 for...in 문이다 object.keys, object.getOwnpropertyNames 메서드로 찾을 수 없다.
  • 이처럼 심벌 값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여 프로퍼티르르 생성하면 외부에 노출할 필요가 없는 프로퍼티를 은닉할 수 있다.
    • 하지만 object.getOwnpropertySymbols 메서드를 사용하면 심벌 값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여 생성한 프로퍼티를 찾을 수 있다.

33.6 심벌과 표준 빌트인 객체 확장

  • 일반적으로 표준 빌트인 객체에 사용자 정의 메서드를 직접 추가하여 확장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표준 빌트인 객체는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
열심히 하고싶은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