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요청이 잘 처리가 됐는지 문제가 있는지 서버에서 response를 보낼때 알려주는 기능이다.크게 다섯가지로 나뉜다1xx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안씀)2xx (Successful) - 요청이 정상적으로
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 \- Start tag of element \- cvc-id.3: A field of identity constraint 'web-app-servlet-name-uniqueness' matche
이번주 내가 정한 나의 목표치는 HTTP 강의를 완강하고 블로그에 포스팅 해내는것.동시에 이클립스로 Spring Boot가 아닌 Spring MVC 환경을 구축해보는것!우선 HTTP 완강은 예정보다 일찍 끝냈다.그래서 이클립스에다가 Spring MVC 환경을 구축해보는
HTTP 메소드 웹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흐름을 파악했다면,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상식중 첫 번째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근데 웹 개발을 한 번이라도 해봤다면? GET, POST에 대한 것은 들어보지 못했을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상식이라고 표현한만큼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이고, 초기에는 문서간의 링크를 통해서 연결할 수 있는 html을 전송하는 것이 시작이었는데, 지금은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HTTP는 여러 버전이 있는데, 지금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HTTP
나는 평소에 남들처럼 URL만 알았지 URI라는게 있는지 처음 알았다.심지어 URI는 URL을 포함하는 개념이었다.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niform: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Spring을 공부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Django와 비교하게 된다.MTV 패턴을 떠올리며 MVC를 학습하려하고, Spring을 통해 구현되는 CRUD를 Django때와 비교하게 되는 등등,,,그리고 한 가지 또 깨닫게 된게 있다면, Django 조차 겉핥기만 해본 나
ㅋㅋㅋ 합격했다사실 합격통보는 4월 25일날 했지만, 그 사이에 혜인이 면접 준비하는 것을 도와준다거나 집안 일 부터 일이 좀 많았다!우선 합격하고는 기분이 좀 싱숭생숭했다.인턴 입사일이 바로 5월 2일 월요일 (합격날 바로 다음주 월요일) 이었다.그리고 4월 27일
문제 링크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은 행의 번호, c는 열의 번호이고, 행과 열의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각각
내 스프링 스승님 김영한 팀장님에게 배운 것을 복습하고, 내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대한 에세이!우선 쿠키의 정의는하이퍼 텍스트의 기록서(HTTP)의 일종으로서 인터넷 사용자가 어떠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
면접 전 농심NDS 서류 -> 인성 및 코딩테스트 합격! 하고 4월 20일에 1차 직무면접을 보게되었다. 면접
총 후기 완전 방금 CJ올리브네트웤스 인성검사 및 코딩테스트를 진행했다. 문제는 알고리즘만 3문제고 플랫폼은 프로그래머스 사이트였다. 문제당 후기
문제 링크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문제 링크네 개의 명령어 D, S, L, R 을 이용하는 간단한 계산기가 있다. 이 계산기에는 레지스터가 하나 있는데, 이 레지스터에는 0 이상 10,000 미만의 십진수를 저장할 수 있다. 각 명령어는 이 레지스터에 저장된 n을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n의 네 자릿수
코로나때문에 사경을 해멘다고 엔디에스 코딩테스트 준비를 따로 하진 못했다.그냥 내가 평소 블로그에 글 써오면서 가꿔왔던 실력과 엔디에스 코딩테스트 후기 글 몇개 찾아보는 정도..?난이도는 사람들의 후기에 맞게 좀 쉬웠던 편이었던 것 같다.문제는 알고리즘 3문제, SQL
당분간 글을 못쓰고 있었는데, 우선 코로나에 걸렸었다 ㅋㅋㅋ지금은 괜찮아져가지고 이제 아팠던 날을 회상하자면숙취가 조금 많이 세게왔을 때와 느낌이 비슷했다.누나가 엄마따라 양성이 떠버렸고 어쩐지 누나가 출근해있어야할 시간에 방에서 나오더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리고 누나는
문제 링크보물섬 지도를 발견한 후크 선장은 보물을 찾아나섰다. 보물섬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칸은 육지(L)나 바다(W)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에서 이동은 상하좌우로 이웃한 육지로만 가능하며, 한 칸 이동하는데 한
문제 링크KOI 부설 과학연구소에서는 많은 종류의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을 보유하고 있다. 각 용액에는 그 용액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정수가 주어져있다. 산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양의 정수로 나타내고,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은
문제 링크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
링크 문제 링크 문제 설명 지금 민식이가 계획한 여행은 달이 맨 처음 뜨기 시작할 때 부터, 준비했던 여행길이다. 하지만, 매번 달이 차오를 때마다 민식이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의 벽 앞에서 다짐을 포기하고 말았다. 민식이는 매번 자신의 다짐을 말하려고 노력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