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TroubleShooting] Redis - get연산의 null과 transactional

참고 >- https://gompangs.tistory.com/entry/Spring-Redis-Template-Transaction https://wildeveloperetrain.tistory.com/137#google_vignette > - https://redis.io/docs/latest/develop/interact/transactions/ ht...

2024년 7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SON serialize와 생성자 - Builder 관련

제목이 굉장히 장황하다.. JSON -> POJO (자바객체) : deserialize @RequestBody로 넘어온 JSON -> java Object로의 변환 수행 : Jackson2HttpMessageConverter converter 내부에서 ObjectM

2024년 6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9416 파도반 수열

바보같이 모든 함정에 걸려 넘어진 모습... 테이블 정의 d[i] : i번째 삼각형을 더하고 가장 긴 나선의 길이 초기값 설정 d[0] = 1; d[1] = 1; if(m>1) d[2] = 1; 점화식 d[i-2] + d[i-3] 조심할 부분 숫자가 커지면 int 범위를 넘어가므로 long 배열을 사용하자 : 오버플로우인 경우 틀렸습니다로 처리 n=1...

2024년 6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1055 가장 큰 증가하는 부분 수열

진짜 열받게 많이 틀림;; 분명히 다른 예제들이 다 맞는데 아무리 고쳐봐도 1%에서 바로 틀린다면.... 같은 수가 여러 개인 경우가 반례일 수 있다 문제를 제대로 안 읽어서 같은 수가 여러개인 경우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해서 다 더해버렸더니 제출하자마자 틀렸었다 테이블 정의 d[i] : list[i] 탐색할 때의 누적합의 최댓값 2.초기값 설...

2024년 6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912 연속합

테이블 d[i] : list[i]번째 수를 탐색할 때 누적합의 최댓값 초기값 설정 d[0] = list[0]; int max = d[0]; 맨처음 값과 최댓값 비교를 위한 max 설정 점화식 listi]를 탐색하면서 d[i-1]+list[i or listi 할 지 선택 한 번 작아지면 그 이후로도 더 커질 수 없기때문에...

2024년 6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1727 2×N 타일링 2

11726이랑 문제는 같고 타일만 하나 추가된 조건 그래도 뭔가 달라질 줄 알았는데 정말 똑같다.. 테이블설정 d[i] : 2 x i짜리 테이블을 채우는 경우의 수 초기값설정 점화식 0,0에 1x2를 사용한경우 : d[i-1] 0,0에 2x1을 사용한 경우 : d[i-2] 0,0에 2x2를 사용한 경우 : d[i-2]

2024년 6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2193 이친수

2차원 배열을 쓴 경우 테이블 설정 di : 끝자리가 j인 i자리수의 이천수의 개수 초기화 점화식 di : di-1이나 di-1에 0을 붙이기 / di : di에 1붙이기 1차원 배열 테이블 설정 d[i] : i자리수의 이천수의 개수 초기화 점화식 d[i-1]에 0을 붙이거나 / d[i-2]에 01을 붙이거나 = 피보나치 근데 결국 (di = d...

2024년 6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932 정수 삼각

테이블 설정 di : i번째 줄에서 j번째 숫자를 선택했을 때 최댓값 초기값 설정 1차원은 1시작, 2차원은 0시작, ... 하면 헷갈릴 것 같아서 둘 다 1로 시작했다 점화식 각 줄의 첫번째, 마지막 항은 한가지 선택지만 있으므로 그냥 받아옴 / 그 이외의 항들은 j, j-1번째 항 중 더 큰 값을 선택함

2024년 6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003 피보나치 함

테이블 설정 di : fibonacci(i)를 호출했을때 0이 호출되는 횟수 di : fibonacci(i)를 호출했을때 1이 호출되는 횟수 초기값 설정 fibonacci(3) = fibonacci(2) + fibonacci(1) 이므로 d3까지 설정해줘야 함 점화식 그냥 피보나치 그대로 i-1, i-2 더해주면 됨

2024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2852 1로 만들기2

1463번 1로만들기와 동일한데, 중간경로를 출력하는 부분이 추가된 문제이다 테이블 b[i] : i가 1이 되기위한 연산의 최솟값 q[i] : 경로를 출력하기 위해 저장하는 배열 초기값 설정 점화식 b[i] = b[i - 1] + 1 하고 3, 2로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i/3, i/2와 값 비교하여 최솟값 삽입 동시에 q값도 채워넣음 출력 L...

2024년 6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1149 RGB 거리

>1. 테이블설정 : di : i번째 집이 각각 r / g / b일 때 합의 최솟값을 저장 즉 di : i번째 집이 r인 경우 합의 최솟값 , di : g인경우, d[i : b인경우 최솟값, ... >2. 초기값 설정 :첫번째 집의 각 rgb 값을 넣어준다 >3. 점화식 >[0] : i번째 집이 r인 경우 -> i-1번째 집의 g,b중 작은값 선택...

2024년 6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10 - DP : BOJ 2579 계단오르기기

https://github.com/encrypted-def/basic-algo-lecture/blob/master/workbook/0x10.md 이 문제집을 푸는 중입니다 테이블 정의 계단을 밟았을 때 점수합의 최댓값 연속해서 밟는 경우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 2차원배열(BFS에서 벽부수기 처럼) di : i번째 계단을 연속 0번째로 밟은 경우 di : i...

2024년 6월 16일
·
0개의 댓글
·

0x0B P1780 - 종이의 개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2024년 5월 27일
·
0개의 댓글
·

0x0B 재귀 P17478 - 재귀함수가 뭔가요?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478 처음에 제출한 풀이 구린 점 아직 절차지향적 사고에 갇혀.. 아님 그냥 생각을 덜 해서..? 어차피 파라미터로 넘겨주는 변수 N을 직접 --N 할 필요가 없는데 그렇게 해서 마지막 repeat는 (n-N-1)을 하도록 만들어 버렸다. -> 1. 굳이 변수를 직접 바꿀 필요 없으니 ...

2024년 5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09 - BFS

0x09 - BFS >https://blog.encrypted.gg/941 + https://github.com/encrypted-def/basic-algo-lecture/blob/master/workbook/0x09.md 의 문제들을 풀어봅니다. * P1926 - 그림 > cnt : 그림의 개수를 세는 변수 b : 현재 BFS를 그림의 너비를 저장하는...

2024년 5월 4일
·
0개의 댓글
·

0x07 - Deque

* P10866 - 덱 * P1021 - 회전하는 큐 * P5430 - AC 시간초과 / 반례 / 정답 많이 틀릴 수록 더 얻어가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 * 시간초과 풀이 > 아무리 생각해도 "테스트케이스만큼 반복 > 함수개수만큼 반복 > 배열뒤집기" 를 수행하면 O(n^3)를 벗어날 수가 없지않나..? 그래도 일단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부분...

2024년 5월 1일
·
0개의 댓글
·

0x06 Queue

스택과 마찬가지로 시험기간 겹침 이슈로 비슷하고 쉬운 유형의 기초문제들만 반복해서 푼 것으로 보입니다.. 시험기간도 끝나고 스택, 큐, 덱 파트를 끝냈으니 BFS, DFS 파트의 더 어려운 문제에 도전해봐야겠습니다 ^-^ * P10845 - 큐 * P2161 - 카드1 > - head에서 카드를 뽑아 tail에 삽입 : FIFO : push와 pop을...

2024년 5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x05 - Stack

java의 Stack 클래스는 Vector를 상속받아 구현되었다 >- 자바의 스택클래스 사용에 관하여 읽어볼만한 글들 https://velog.io/@jhl221123/%EC%9E%90%EB%B0%94%EC%9D%98-Stack%EC%9D%80-%EC%99%9C-%EC%82%AC%EC%9A%A9%ED%95%98%EC%A7%80-%EC%95%8A%EB%8A%...

2024년 4월 30일
·
0개의 댓글
·

0x04

푼 지 시간이 좀 지나서 보니까 새로 알게됐던 점이나 중요한 부분들이 기억이 안 납니다.. 이래서 오답노트와 기록이 정말 중요한가봅니다 * P1406 - 에디터 > * - Errors* \#CocurrentModificationException Collection에 데이터수정메소드 (remove, add, ...)를 호출할 때마다 멤버변수 modCoun...

2024년 4월 3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