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24 파이썬 보충정리

Ada·2022년 3월 24일
0

Playdata-Cloud

목록 보기
1/21

학생때 배우고 손 뗐던 파이썬을 최근 4일간 다시 배웠다.
알고 있던 부분이 물론 많았지만 새로 배운 내용들도 많아서 그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vsc 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 후 ctrl + k, ctrl c 를 하면 주석처리가 되고
ctrl + k, ctrl + u 를 하면 주석처리가 풀린다.

문자열 함수

str_o1 = "Python"
str_o2 = "Apple"

print("Capitalize: ", str_o1.capitalize())
print("endswith?: ", str_o2.endswith("s"))

결과

Capitalize: Python # 문자열의 첫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
endswith?: False # 특정문자로 끝나는 문자열인가

슬라이싱

str_sl = 'Nice Python'

print(str_sl[::-1])
print(str_sl[::2])

결과

nohtyP eciN
Nc yhn

문자열 포맷팅

print('{:s<10}'.format('nice'))   # 10자리 확보하고 문자를 오른쪽에 붙여 출력후 나머지는 s로 채움
print('{:s>10}'.format('nice'))  # 10자리 확보하고 문자를 왼쪽에 붙여 출력후 나머지는 _ 로 채움
print('{:^10}'.format('nice'))  # 중앙 정렬
print('{:s^10}'.format('nice'))  

결과

nicessssss
ssssssnice
nice
sssnicesss

참고 : Escape 코드

\n : 개행
\t : 탭
\ : 문자
\' : 문자
\" : 문자
\000 : 널 문자

패킹과 언패킹

t2  =1, 2, 3     #  t2 = (1, 2, 3) 괄호를 씌워주어도 튜플이고 안씌워줘도 튜플
t3 = 4,   # 여기도 t3 = (4,)  와 같다
x1, x2, x3 = t2
x4, x5, x6 = 4, 5, 6

산술, 관계, 논리 우선순위

산술 > 관계 > 논리 순서로 적용

print('e1 : ', 3 + 12 > 7 + 3)
print('e2 : ', 5 + 10 * 3 > 7 + 3 * 20)
print('e3 : ', 5 + 10 > 3 and 7 + 3 == 10)
print('e4 : ', 5 + 10 > 0 and not 7 + 3 == 10)

for ~ else 구문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특이한 구문

numbers = [14, 3, 2, 33, 15, 34, 36, 38]

for num in numbers:
    if num == 34:  # 45
        print("Found : 34!")
        break
else:
    print("Not Found 45...")

람다식 예제

메모리 절약, 가독성 향상, 코드 간결
함수는 객체 생성 -> 리소스(메모리) 할당
람다는 즉시 실행 함수(Heap 초기화) -> 메모리 초기화
남발 시 가독성 오히려 감소

def mul_func(x, y):
	return x * y
    
lambda x, y:x*y

input 함수는 변수로 할당 하지 않아도 필요한 부분에서 선언해서 함수의 안에서도 사용가능

print("FirstName - {0}, LastName - {1}".format(input("Enter first name : "), input("Enter second name : ")))

클래스와 매소드는....더 공부하고 보충 할 것!!!

profile
백엔드 프로그래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