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때 배우고 손 뗐던 파이썬을 최근 4일간 다시 배웠다.알고 있던 부분이 물론 많았지만 새로 배운 내용들도 많아서 그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우선 vsc 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 후 ctrl + k, ctrl c 를 하면 주석처리가 되고ctrl + k, ctrl +
오늘은 드디어 클라우드에 입문하게 되었다.aws 서비스에 가입하고, 첫 인스턴스를 만들어 보았다.putty 와 puttygen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리눅스 서버도 열어보고, 윈도우즈 서버도 열어보니 신기했다.클라우드 서비스에는 정말 많은 용어들이 있는데 오늘 배운것들
오늘은 aws 사이트의 EC2 환경에서 linux 인스턴스를 생성 한 후
오늘은 VPC 서비스를 맛보기로 해보았다. 수동으로 VPC 를 생성하는 순서는VPC 생성서브넷 생성가용역역은 a 또는 c 로 설정할 것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NAT 게이트웨이(탄력적 IP 생성)명칭 있는 라우팅 테이블 수정라우팅 탭 0.0.0.0/0 인터넷 게이트웨이
며칠간 블로그를 밀렸다ㅠㅠㅠㅠ친척분 장례식때문도 있고 컨디션이 안좋았던 탓도 있지만...모두 변명이다.....드디어 2번째 미니프로젝트를 하게되었다. 오늘은 목요일이지만 사실 화요일부터 하고 있었다.원래 일정은 내일까지인데 이미 마무리단계라서 프로젝트 과정에서 느낀 나
오늘은 Ansible 수업 첫날이였다.한번에 여러 인프라의 설정을 바꿀 수 있는 신기한 시스템이라 흥미로웠는데 중간중간 에러가 나서 녹화본 보고 겨우 따라잡았다.인프라를 웹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식의 도구를 사용해 수동적으로 인프라를 구성하는것이 아닌, 시스템이 읽을 수
▪ Ansible 플레이북은 반복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 관리부터 여러호스트에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데 매우 적합▪ 작업을 두 번 이상 실행해야하는 경우 Ad-hoc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플레이북을작성하고 Git과 같은 소스 제어를 사용하는 것을
복습 변수 • 변수 정의 위치 ▪ 인벤토리 - 호스트 변수 INI 형식의 인벤토리에서 변수 선언은 키=값 형태를 가짐 ▪ 플레이북 - 변수 플레이에 vars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정의
lookup 플러그인은 컨트롤노드의 정보를 불러온다.
파일 지우기▪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 loop 구문을 사용해서 각 모듈(작업)에 대한 반복 작업 수행 가능▪ 변수 값을 변경하면서 모듈을 실행 ( item 이라는 이름의 변수 사용 )▪ 조건식과는 다르게 block 단위의 반복작업은 불가▪ 조건식과
▪ 특정 서비스가 실행 중일 경우에만 httpd 서비스 다시 시작핸들러(Handler)는 작업을 실행하고 시스템의 변경(Changed)이 있을 때에 별도의 작업을 호출하고 실행하는작업주로 핸들러를 사용하게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의 구성 파일이 변경된 경우 서비스를 재시
delegate_facts: no or default위임 대상에게 수집한 facts를 내가 갖는다.수집한 다른 node facts로 hosts 키워드의 대상 노드의 facts를 덮어씀delegate_facts: yes위임 대상에게 수집한 facts를 넘겨줌▪ 많은 작업
▪ HashiCorp 사의 코드형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as Code) 도구▪ 클라우드, 물리 시스템, VM, 네트워크 장비, 컨테이너 등 인프라의 자동화된 배포,변경 및 관리를 제공▪ 사람이 쓰고 읽을 수 있고 자동화된 배포를 위해 HCL(Hash
Ansible playbook과 yml 언어를 사용해서 2대의 서버를 각각 Web, DB 서버로 나누어 워드프레스를 올려보았습니다. Web 서버와 DB 서버에서 서로 통신이 되기 위해서는 연결고리가 필요합니다. 본 프로젝트에선 Apache2 와 PHP 를 사용했습니다
도커 명령어도커허브에서 이미지 검색docker search 이미지명이미지 다운로드docker pull 이미지명:태그이미지 리스트 확인docker image ls or docker images이미지 ID 리스트 확인docker image ls -q or docker im
기본 태그 : latest docker create => 컨테이너 생성 docker start => 컨테이너 시작 docker attach => 컨테이너 접속 docker run => 위의 3개 한번에 실행 run 명령어 수행시에는 d 옵션 사용하는게 좋다. -도
즐거운 연휴를 끝내고 월요일이 시작되었다.이수진 강사님이 떠나시고 설규환 강사님께서 새로 오셨다.대부분의 이미지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있다.컨테이너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한다.가상화는 격리된 환경을 제공한다.Docker 기본구조Docker ClientDock
이미지 관리 \-이미지 생성(직접 생성, 코드에 의한 관리 IaC)\-이미지 내보내기이미지 가져오기이미지 업로드Snowflake ServerSnowflake : 눈송이사용자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관리가 수행되는 서버Phoenix ServerPhoenix : 불사조서버의
![](https://velog.v
![](https://velog.ve
![](https://velog.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