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사용법

최창효·2022년 1월 9일
0
post-thumbnail

깃 사용법

참조영상

먼저 git bash를 설치하고 간단한 세팅을 해야 합니다.

  • 설치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이메일"
  • git config --list를 했을 때 user.name과 user.email이 들어있으면 성공입니다

처음 올릴 때

  • git init : 깃을 사용하기 위한 초기화 명령어 입니다. 맨 처음 프로젝트를 올릴 때 최초 한 번만 해주시면 됩니다.
  • git add .: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을 전부 깃허브에 올리겠다는 뜻입니다.
  • git status: 현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add된 파일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와 무관합니다)
  • git commit -m "first commit": 작성 내용에 대한 히스토리를 만들어줍니다.
    • 최종,최종최종,진짜최종,... 같은 느낌입니다
  • git remote add origin [git_repository_주소]: status의 파일을 [gitrepository주소]에 보내겠다는 의미입니다. local과 repository를 연결해 줍니다.
  • git remote -v: git repository와 local이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와 무관합니다)
  • git push origin master: 마스터 브랜치에 파일을 올립니다. 최종전송버튼 역할입니다.

추가 작업할 때

  • git add *
  • git commit -m "second commit"
  • origin에 다른 주소를 덮어쓰지 않았으면 git remote add origin [git_repository_주소]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git push origin master

git을 메일보내기에 비유한다면

git init: 메일함을 연다

git add: 전송할 파일들을 올린다

git commit: 선택을 누른다

git remote add origin: 받을사람 주소를 적는다

git push origin master: 전송하기 버튼을 누른다

image

다른사람과 함께 작업할 때

개발 참여자

  • git clone [리퍼지토리 주소] ([폴더이름]): 로컬에 지금까지의 작업내용을 받아 옵니다.
  • 로컬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 git add *: 작업 내용을 업로드 합니다.
  • git commit -m "contributor\'s first commit"
  • git push origin master 마스터에 본인의 코드를 바로 올리면 절대 안됩니다.
  • git checkout -b [브랜치 이름]: 본인의 작업을 올릴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master가 아닌 브랜치에 작업 내용을 올립니다.
  • git repository주소에 접속해 compare & pull request를 누릅니다. // 커밋 메시지 적기,
    • 커밋 메시지를 적어줍니다.
    • create pull request를 누릅니다.(확인해 보시고 괜찮으면 마스터에 합쳐주세요라는 의미입니다)

Repository 생성자

  • (최초 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 [참여자의 pull request 요청이 들어온 후] - branch를 눌러 내용을 확인하고 내용이 괜찮다면 merge pull request를 눌러 master에 합쳐 줍니다.

  • 1.1ver으로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다른 Contributor가 자신의 작업을 끝내고 이를 master에 추가해 1.2ver이 된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 생성자는 1.2ver으로의 업데이트도 필요한 동시에 1.1ver의 작업내용이 사라져서는 안됩니다.
    • 먼저 1.1ver에서의 작업을 올려줘야 합니다.
      • git add *
      • git commit -m "second commit"
      • git push origin master push 먼저 하면 절대 안됩니다.
      • git pull origin master:1.2ver으로 동기화를 먼저 해 줍니다.
        • 내 코드와 다른 개발자의 코드 모두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 Pulling is not possible because you have unmerged files 에러가 뜬다면
          • git commit -am "message"로 해결
      • git push origin master로 최종 작업을 master에 올려 줍니다.

.git ignore

  • Git 버전 관리에서 제외할 파일 목록들

origin?

  • 관례적으로 사용하는 변수 이름이다

branch란?

  •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해줌

git init과 .Git파일?

git commit -am은 무엇?

깃허브 튜토리얼

profile
기록하고 정리하는 걸 좋아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