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설명
접근법
- ◥모양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아래로 갈수록 검은색이 줄어듭니다.
- 우측정렬 되어있습니다.
- 파이썬에서는 f-string으로 우측정렬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f-string은 기존의 print("문자열")에서 따옴표 앞에 f를 추가한 모습입니다.
- f-string에서는
{}
속 문자를 변수로 인식합니다. answer = 5
를 위에서 선언했다면
- print("{answer}입니다.")는
{answer}입니다.
를 출력하지만
- print(f"{answer}입니다.")는
5입니다.
를 출력합니다.
%
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print(f"%d입니다."%5)는
5입니다.
를 출력합니다.
- ""속 %d와 %s는
뒤에 있는 값이 들어올 공간입니다
라는 뜻입니다.
- 여기서 말하는
뒤에 있는 값
은 ""가 끝나고 나오는 %
뒤에 있는 값입니다.
%d
와 %s
사이에는 %5d
, %-3s
처럼 숫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숫자만큼의 공간을 잡고 오른쪽부터 값을 넣어라는 의미입니다.
- print(f"%7s입니다."%"바보")의 결과는
ㅤㅤㅤㅤㅤ바보입니다.
입니다.
- 총 7칸의 공간 중 왼쪽부터 '바보'를 채워넣었고 그 결과 5칸의 빈칸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답
N = int(input())
for i in range(N):
star ="*"*(N-i)
print(f"%{N}s"%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