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현재 aws와 elastic search 를 활용해 도서 추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근데 사용자가 거의 없기도 하고 로그인 과정도 없어 ec2를 사용하지 않고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다.아직 클라우드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총 5가
결론부터 알고 싶으신 분들은 'AWS Lambda 환경 변수 기능 활용하기'으로 바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민감한 정보를 숨기기 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api key 값이라던가... 아이디 패스워드 값이라던가.. 중요한 정보를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전
이번에 다룰 주제는 AWS API Gateway를 사용하여 REST API를 생성하고 Lambda에 연결하는 과정을 적어보도록 하겠다. 위 사진에서 보듯이 api 엔드포인트 유형이 세가지로 나뉜다.📍리전 API : 현재 AWS 리전에 배포되어 있는 것 -> 리전간의
필자는 지금 도커 이미지를 ecr에 올려서 lambda에 연결해 호출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근데 코드 변경할 때마다 수시로 다시 aws 로그인 하고... 이미지 빌드 하고... ecr 레포 파고.. ecr에 푸시하고... lambda 만들고... 연결하고... 이런
필자는 AWS Lambda를 이용해서 서버리스 프로젝트를 구현중이다. 그래서 해당 서버에 대한 로그를 Elastic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을 활용해서 기록하고자 한다. 그것과 관련된 흐름은 아래와 같다. > 1. Ela
본 글을 작성하는 것은 제목과 같은 과정을 진행하면서 겪는 시행착오를 기록해보자 작성하게 되었다. 왜 flask? 일단 필자는 데이터 분석을 주로 했기에 파이썬 언어가 제일 익숙하다. 그래서 파이썬 기반 웹 프레임 워크를 검색해보았는데 Flask와 Django가 나
필자는 오늘 az900시험을 보고 합격했다. 700점만 통과하면 되는 시험이였는데 775점을 맞았다. 흠 사실은 800점 정도는 넘을 줄 알았는데... 마지막에 다른 자료를 봐서 그런 듯 하다...일단 검색하면 나오는 자료들중에서 여러가지를 봤었다.그중 https&#x
초단기 합격 너두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