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기술' 블로그로 운영하기 시작한 곳이지만 다른 이야기도 조금씩 써볼까 한다. 펜데믹이 시작되고부터였을까? 비트코인과 주식 그리고 부동산 가격 이야기가 하루가 멀게 쏟아지기 시작했다. 누가 돈 벌어서 퇴사했다는 소식, 급하게 영혼을 끌어모아 집 샀다는 소식 그리
멀티 서버에서 스케줄 처리하기 -ShedLock 2020년도 당시 실무 간 구현한 것을 개인블로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바를 접하다 보면 항상 따라오는 이야기 중 하나가 바로 스레드에 대한 것이다. 스레드는 동기화, 데드락, 크리티칼 섹션 등 수 많은 고려사항을 갖고 있는지만 막상 본인은 스레드가 뭐고 어렴풋이 알고 (사실 들어만 본 수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를 하
글을 굉장히 오랜만에 올리게 되었다.그 이유는 7월부로 모 이커머스 회사에 입사하게 되어적응 기간을 거치느라 잠깐 뜸해졌다.이렇다할 개발 경험 없는 내가 이 회사에서 업무를 시작하게 되고약 2개월이 지난 지금 내가 새로 알게 된 것은 이와 같다.맥북 사용 한영키 바꾸는
한 동안 여러가지 이벤트로 포스팅이 뜸 했다..하지만 개발은 계속 하고 있었던 것.백엔드 작업 후 프론트 단과 협업하는 중 Enum 자료형 통신에 문제점을 발견하였다.Enum을 Json으로 바꾸어 통신할 때 Field : Name과 같이 변환되었다.클라이언트(프론트)의
보면 볼수록 내가 모르는 게 정말 많구나라는 걸 끝도 없이 느낀다.내가 '안다' 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아는 게 아닌' 것이 될 때 과연 '나는 아는게 뭘까?' 라는 생각까지 도달하게 된다.(더 나아가서 '난 할 줄 아는게 뭘까..?')상대적 박탈감이라 했던가?'저 사
검색 조건과 keyword를 함께 던져 버리기.그럼 서버에서는 어떻게 반응할까?이전 QueryDSL에서 where조건 추가를 살펴봅시다.도시 정보를 통해 조건을 추가할 때 Qdomain을 사용한 BooleanExpression을 사용했다.그렇다면 검색타입(ex) 이름,
남들은 쉽게 하는데 왜 나만 어려울까? 페이징과 검색이 그렇다. 쉽지만 어려운문제 일전에 JPA를 알아보면서 QueryDSL이 복잡한 쿼리를 구성하기에 좋은 라이브러리 란 것을 보았다. 다음 링크들을 참조해서 본 프로젝트에 적용 해보았다. > 참고링크 -mav
레거시는 공허하다.무에서 유를 창조하기 위한 선조의 노력을 현대에 맞게 발전시켜야함에 따라.나는 다음과 같은 레거시 데이터베이스를 만나게 되었다.차량을 소유하는 주체는 업체(company)와 개인(driver)로 나누어진다. 레거시 DB에서는 두 형태를 각각의 co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