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리팩토링을 시작하기에 앞서 어떤 방식으로 리팩토링하는게 좋을지 알아보는 과정을 가졌는데, 관련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컴포넌트 렌더를 위한 코드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면 가독성이 좋아진다.비즈니스 로직 각각의 기능을 훅으로 추상화하면 단위 테스트 검증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 🤔그래서 뭔데요?
대체 아파치는 뭐고 톰캣은 뭐야...? 입사 후 제일 못 알아들었던 개발 툴에 대하여
요청을 처리하는 기계(컴퓨터)를 말합니다.좀 더 자세히 얘기하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앱들이 꺼지지 않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항상 전원이 켜진 채로 ‘데이터 센터’라는 건물에 배치되어
수습 과제를 마무리 하고 배포했는데 백엔드 API의 Status 코드가 400이 나왔습니다.
React-DatePicker은 React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달력 라이브러리이다.
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 의 차이는???
컴포넌트를 아래와 같이 Suspense로 감싸주면 작업이 끝날 때 까지는 fallback 속성으로 넘긴 컴포넌트를 대신 보여줄 수 있다.
배포 자체가 안돼서 배포를 진행하는 것만 3일,배포 후에 백엔드 API가 연결이 안돼서 해결하는 것만 2일이 걸렸다.
Github Pages로 배포를 실패 한 후 Netlify로 배포에 성공하게 된 과정 기록
Github Pages build 실패 후 Netlify로 넘어가는 과정...많은 오류 메세지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