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드라이브 용량이 최대 15GB밖에 없어서,
코랩에서 작업한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마운트해서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하지 않고 로컬 드라이브에 저장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생각보다 간단하고, 필요한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해서 포스팅으로 남겨본다. 필자같은 경우에는, colab
을 GPU
때문에 쓰기 때문에 쓸모없을 것 같다.
cpu
를 씀. 이렇게 colab
쓸 바에 그냥 바로 vscode
를 쓰는 게 나을 수도...?필자의 환경이 mac
이라서 mac
의 방법만 설명하는 점 앙해 바랍니다.
Jupyter
설치jupyter_http_over_ws
설치- 사용하기
Jupyter
설치
로컬 환경에 Jupyter를 설치해줍니다.
Terminal
을 열고 jupyter_http_over_ws
를 설치합니다.
pip install jupyter_http_over_ws
위 명령어를 치면 아래처럼 설치가 될 것입니다.
설치가 잘 되었으면,
jupyter serverextension enable --py jupyter_http_over_ws
위 명령어를 terminal
에 쳐줍니다.
그럼 이제 설치, 인증
은 끝났습니다.
jupyter notebook \
--NotebookApp.allow_origin='https://colab.research.google.com' \
--port=8888 \
--NotebookApp.port_retries=0
위 코드를 terminal
에 입력하면, 새로운 팝업 창으로 Jupyer 창이 뜰 겁니다. 그리고 terminal
에는
To access the notebook, open this file in a browser:
file:{대충 웹사이트 주소같이 생김}.html
Or copy and paste one of these URLs:
http://localhost:8888/{대충 웹사이트 주소같이 생김}
or http://127.0.0.1:8888/{대충 웹사이트 주소같이 생김}
위와 같은 링크들이 뜰겁니다. 그럼 잘 되고 있는 겁니다! 위 세가지 링크 중 하나를 복사해 줍시다.
이제 colab
으로 이동해 봅시다.
코랩의 우측 상단에 있는 연결
-> 로컬 런타임에 연결
을 클릭해줍니다.
아까 복사해준 링크
를 붙여 넣어 줍시다.
연결이 잘 되었다는 안내와 함께,
로컬 파일과 colab에서 볼 수 있는 파일도 똑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코딩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