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03[저항회로]

용권순·2021년 4월 18일
0

회로 이론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키르히호프의 법칙


회로를 마디의 관점으로 봐서 전류와 전압을 쉽게 풀어내는 법칙이다.

  • 마디(Node)란 전압의 입장으로 본 하나의 덩어리. 전압계를 마디 어디에 두어도 마디의 전압은 같다. ex)위의 사진에서, v1v_1의 마디는 v2v_2의 양 단자의 끝 점 전까지가 모두 v1v_1의 단자이다.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ichhoff's Current Law, KCL)

  • 마디에 들어오는 모든 전류의 수학적 합은 언제나 0
    마디에 들어오는 전류의 방향을 통일하는 것이 중요하다!
    (ex) 마디에 들어오는 전류를 +라고 하면, 마디를 나가는 전류를 -라고 해야한다.)

    다음과 같은 회로가 있을 때, C단자의 전류의 합은 4번에서 흘러들어온 전류 + 5번에서 흘러들어오는 전류 = 0이 되어야 한다.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irchhoff's Voltage Law, KVL)

루프 주변 전압의 수학적 합은 언제나 0, 이때, 부호를 조심해야한다. KVl에서는 통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만나는 부호를 그 전압의 부호로 설정한다.
(루프라고 하면, 여러 마디로 둘러싸인 한 부분을 말한다. 자세한건 다음 사진 참조)

다음과 같은 회로가 존재할 때, v3,v4,v5,v6v_3, v_4, v_5,v_6은 같은 루프에 존재한다. 즉, KVL법칙에 따라 , v4+v5v6v3=0v_4+v_5-v_6-v_3=0을 만족한다.

직렬저항과 전압분배(Series Resistors and Voltage Division)

  • 회로가 직렬로 되어있을 경우 각 마디에 KCL을 적용하면,
    a: i1=isi_1 = i_s, b: i1=i2i_1 = i_2, c: i2=i3i_2 = i_3, d: i3=isi_3 = i_s
    i1=i2=i3=isi_1 = i_2 = i_3 = i_s이 성립한다. 즉, 직렬연결이면 모든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다.
  • 위의 회로에 KVL을 적용하면, v1+v2+v3vs=0(1)v_1 + v_2+ v_3- v_s = 0 (1) (1)식에 Ohm의 법칙(v=Riv = R\cdot i)을 적용해서 다시 쓰면, i1R1+i2R2+i3R3=vsi_1\sdot R_1+ i_2\sdot R_2 + i_3\sdot R_3=v_s이다. 따라서 i1=vsR1+R2+R3i_1 = \frac{v_s}{R_1+R_2+R_3}이 성립한다.
    n번째의 저항을 RNR_N이라고 할때, 전압 vn=i1Rn=vsRnR1+R2+R3v_n = i_1\sdot R_n =\frac{v_s\sdot R_n}{R_1+R_2+R_3}가 된다.
    이때 R1+R2=R3=RsR_1+ R_2 = R_3= R_sRsR_s는 모든 저항의 합의로 정의한다.
  • 정리하면, 루프가 직렬저항일때 전류isi_s는 같고, n번째 저항RnR_n의 전압은 vn=vsRnRsv_n = v_s\sdot \frac{R_n}{R_s}이다.

병렬저항과 전류분배(Parallel Resistors and Current Division)

  • 마디 a에 KCL을 적용하면, is=i1+i2i_s = i_1+i_2가 성립. Ohm의 법칙을 써서 다시 정리하면, is=vR1+vR2i_s = \frac{v}{R_1}+ \frac{v}{R_2}(병렬연결이므로, R1R_1R2R_2의 전압은 같다). 이를 Conductance (G=1RG = \frac{1}{R})로 표현해보면,, is=v(G1+G2)i_s =v\sdot(G_1+ G_2) Gp=G1+G2G_p = G_1+G_2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Gp=1Rp=1R1+1R2G_p = \frac{1}{R_p} = \frac{1}{R_1} + \frac{1}{R_2} , RpR_p에대해서 다시 풀어보면, Rp=R1R2R1+R2R_p= \frac{R_1 \sdot R_2}{R_1+ R_2}이 된다.(주의해야할 것이 RpR_p의 공식은 저항이 구하려는 저항2개가 병렬저항일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R1,R2R_1, R_2 외에도R3R_3가 존재한다면, 위의 RpR_p의 식은 성립하지 않음)

  • 전류분배 : 위의 식에서 i1=G1vi_1= G_1\cdot v이다.이를 일반화 하면, is=n=1NGnvi_s=\sum_{n=1}^N G_n \cdot v이기때문에, v=isn=1NGnv =\frac{i_s}{\sum_{n=1}^N G_n}이 성립한다. 이때, 병렬저항에서 n번째 노드의 전류 in=vnGn=Gnisn=1NGn=iSGnGpi_n = v_n \cdot G_n = G_n \cdot \frac{i_s}{\sum_{n=1}^N G_n} = i_S\sdot \frac{G_n}{G_p}라는 일반식이 성립한다.
profile
수학계산학부 석사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