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와 value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ex) 5개의 과일이 들어있는 바구니(해쉬테이블) key : 과일이름, value : 과일색해쉬 테이블에서는 근본적인 문제로 hash_function(key) / size_of_array의 값이 중복될 수 있다. 이 충돌을 해결
피보나치 수열앞에 있는 숫자와 그 앞에 숫자를 더한 것을 나열하는 수열재귀함수로 피보나치수열을 구현중복 호출이 발생한다.메모이제이션을 이용한 피보나치수열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컴퓨터 프로그램이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이전에 계산한 값을 메모리에 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함수를 계속 호출했을 때 가장 마지막에 호출한 함수가 먼저 수행을 끝내야 그 앞의 함수 호출이 종료되기 때문이다.(선입후출, First In Last Out)따라서 스택 자료구조를 활용해야 하는 상당수 알고리즘은 재귀
DFS(Depth-First-Search)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래프란? 노드와 간선으로 표현되며 이때 노드를 정점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두 노드가 인접하다
Breadth 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DFS - 최대한 멀리 있는 노드부터수행시간이 BFS가 DFS보다 빠르다선입선출 방식인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며,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