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6-1 마크업 언어 / 균일 자원 위치 지정자

현수·2022년 2월 20일
1
post-thumbnail

마크업 언어 (Markup Language)


  • 마크업(markup) : 텍스트와 구분할 수 있는 마크를 추가할 수 있는 시스템.
  • 마크업 언어는 컴퓨터가 생기기 전부터 있던 것으로, 인쇄공에게 작가와 편집자들이 원하는 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생겨났다.
    • 이 아이디어를 현대에 되살린 것이 지금의 마크업 언어이다.

마크업 언어의 종류

  • GML(Generalized Markup Language, 일반화한 마크업 언어) : 1979년 IBM이 법률문서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마크업 언어로, GML이라는 이름은 언어를 개발한 사람들(골드파브, 모셔, 로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SGML(Standard Generalize Markup Language, 표준 GML)

    • GML을 확장하여 만들어진 마크업 언어.
    • 1986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 인쇄와 출판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너무 복잡한 이유로 소규모 범용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웠다.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가능한 마크업 언어) : SGML을 좀 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한 마크업 언어로 SGML의 하위 집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를 위한 가장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로, 쉬운 사용법으로 인터넷이 일반화 되는데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원래는 SGML과는 별도로 설계되었지만, 2.0 버전부터 SGML 기반으로 재정의 되었다.





균일 자원 위치 지정자 (URL)


  • 최초의 웹 브라우저 : 영국의 엔지니어, 팀 버너스리에 의해 World Wide Web이라는 이름으로 1990년 처음 만들어졌다.

    • 이 브라우저는 브라우저가 URL을 서버에 보내면, 문서를 브라우저에 보내주는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URL : 일정한 구조를 따르는 텍스트 문자열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소스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 주소로 아는 경우가 많지만, 웹 사이트 주소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소스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URL의 구조

  • 스킴(scheme) : 통신 매커니즘을 표시.

    • 대표적으로 http나 https와 같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이 있다.
    • file이라는 스킴을 사용하면 로컬 파일의 경로를 나타내게 된다.
    • 그 외에도 tv나 bitcoin 등의 스킴도 존재한다.
  • 호스트(host) : 통신하고자 하는 서버.

    • 숫자로 된 IP주소도 가능하지만 보통은 DNS의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 경로 : 문서를 추출하는 위치.

    • 일반 파일 시스템 경로와 유사하다.
profile
언젠간 되겠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