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구디아카데미 김지훈 강사님의 수업자료와 강의 내용 정리, 실습한 내용을 정리함!
이전 J-Query 속성, 셀렉터, event 등 복습 후 당일 교육 진행
Object 는 Attribute 를 갖는다.(member 라고도 한다.)
당연히 Dom 객체에서도 객체를 갖는다.
J-Query 에서는JS와 마찬가지로 이 속성을 다룰 수 있다.
입력
출력
영상
$(셀렉터).attr("지정 속성","변경 내용"); : 해당 요소의 지정된 속성을 변경한다.
$(셀렉터).val("변경 내용") : 해당 요소의 값(value)을 변경한다.
$(셀렉터).text("변경 내용") : 해당 요소의 텍스트 값을 변경한다.(내부 html 태그 미포함)
$(셀렉터).html("변경 내용") : 해당 요소의 텍스트 값을 변경한다.(내부 html 태그 포함)
입력
출력
영상
비교적 단순한 스타일 적용에 활용한다.
특정 스타일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경우 사용한다.
$(셀렉터).css("attribute") : 선택한 요소의 스타일 값을 받아온다.
$(셀렉터).css("attribute","value"); : 선택한 요소의 스타일 값을 변경한다.
입력
출력
영상
이미 선언된 클래스를 적용/삭제할 경우 사용한다.
비교적 복잡한 스타일을 사용할 경우 유용하다.
$(셀렉터).addClass("class name"); : 선택한 요소에 해당 클래스 추가
$(셀렉터).removeClass("class name"); : 선택한 요소에 해당 클래스 삭제
$(셀렉터).toggleClass("class name"); : 선택한 요소에 해당 클래스 추가/삭제
입력
출력
영상
JQ에서 animation 은 CSS 와 setinterval 을 활용하여 만든 기능이다!
Hide : 해당 요소를 사라지게 하는 기능(display:none)
Show : 해당 요소를 보이게 하는 기능(display:block)
Toggle : 두 기능을 번갈아 가며 실행
$(....).hide(speed,callback);
$(....).show(speed,callback);
$(....).toggle(speed,easing,callback)
- Speed : milliseconds, slow, fast
- Easing : swing(가속),linear(평균)
- Callback : 효과가 끝나고 실행할 기능
입력
출력
영상
fadeIn() : 서서히 나타나는 효과
fadeout() : 서서히 사라지는 효과
fadeToggle() : 위 두 개의 효과를 토글
fadeTo() : opacity 조정
입력
출력
영상
Attribute 변경 샘플을 코드리뷰 진행하면서 어떤 플로우로 코드가 짜였는지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교육 때 진행했던 코드들을 모두 코드리뷰 해보는 습관을 들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