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개발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크로스 브라우징'의 개념이다. 그럼 이제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크로스 브라우징은 웹 페이지가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도 의도한 대로 잘 동작하고, 보이는 것을 보장하는 작업이다. Chrome, Firefox, Safari, Edge 등 다양한 브라우저와 버전, 그리고 다양한 운영 체제와 디바이스에서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크로스 브라우징의 핵심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 종류에 상관없이 똑같은 웹 페이지’를 보여줄수 있어야 한다. 그로스 브라우징은 브라우저 마다 똑같은 웹 페이지를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각 브라우저는 자체적인 렌더링 엔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웹 페이지라도 브라우저에 따라 보이는 방식이나 동작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사용하는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그 웹사이트를 다시 방문할 확률이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웹 개발자로서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웹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크로스 브라우징 작업을 해야 한다.
모든 브라우저를 설치하고 테스트 하는 방법도 되긴 하지만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를 할수 있는 서비스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게 효율적이다.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 서비스: Lambda Test, Selenium
크로스 브라우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개발자는 각 브라우저의 특성을 이해하고, 테스트 도구와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결국 크로스 브라우징은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