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기기(예: 웹 브라우저)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요청하거나

WWW 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줄임말이다.\-월드 와이드 웹: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열고 탐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웹: 인터넷 상의 인기 있는

인터넷이 생활화되며 웹 페이지는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그런데 웹 페이지는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정적 웹 페이지, 동적 웹 페이지, 반응형 웹, 인터렉티브 웹 등 다양한 유형의 웹 페이지가 있다. 그럼 이제 하나씩 알아보자.정적 웹 페이지는 사용자가 서버

웹 개발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크로스 브라우징'의 개념이다. 그럼 이제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크로스 브라우징은 웹 페이지가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도 의도한 대로 잘 동작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열거나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규약이 바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이다. 그럼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웹사이트를 클릭하면 화면에 페이지가 뜨는데, 그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웹은 어떻게 동작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페이지가 표시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자.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Uniform Resource Loca

API 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API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 하도록 도와주는 매개체이다.API는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능을 공유하는 데 사용되는 툴이다. API는 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에게 어떤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것이다.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알고리즘을 프로그램으로 작성

HTML은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만드는 언어다. "HyperText"는 페이지 간에 링크를 통해 연결된 텍스트를 의미하며, "Markup Language"는 텍스트에 마크를 추가하여 그 텍스트의 속성을 정의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HTML은 웹 페이지의 제목, 텍스트

프로그래밍 세계에서, 코드는 항상 우리가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때로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를 '버그'라고 부른다. 이런 버그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을 '디버깅'이라고 하며, 예상치 못한 상황을 처리하는 것을 '예외 처리'라고 한다. 이제

웹 개발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코드를 작성한 후에는 그 코드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빌드'와 '배포'라고 한다. 그러면 이제 이 두 과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개발에서 빌드는 일반적으로 소

소프트웨어는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고 발전하면서 그 구조와 코드가 복잡해지곤 한다. 이런 상황에서 '레거시 코드'와 '리팩토링'이라는 두 개념이 중요해진다. 레거시 코드는 개발자가 현재 이해하거나 유지하기 어려운 오래된 코드를 가리킨다. 이 코드는 보통 시간이 지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