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부트캠프] UX/UI 기본개념

채연·2025년 3월 20일
0

디자인부트캠프

목록 보기
11/51
post-thumbnail

서론

Part2 : UI 디자인실무가 시작된 오늘은 새로운 강사님께서 오셔서 Product Designer가 알아야 하는 기본 개념과 갖춰야 할 능력, 직무에 대한 이해에 더불어 JD분석 방법을 알아보고 문제도출에서 문제해결을 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능력

디자이너는 기본적으로 이 5가지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개인적으로 문제해결, 사용자 중심사고,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문제해결 능력

디자인은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도구이며 이를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문제해결 능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위와 같은 5가지 디자인 씽킹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최근 채용공고 키워드와 UX 디자인 역량 모델, UX 현황을 보면 위와 같은 문제해결 능력과 디자인 씽킹이 중요하고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작성하게 될 Portfolio에서 '저는 문제해결능력이 있고 가능합니다!'가 보여져야 한다.

> Product Design

Product Designer는 디지털 제품의 설계와 관리를 중점으로 두는 직군으로 단순히 심미성과 사용성을 고려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 경험(UX)과 비즈니스 목표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위와 같이 회사 안에 여러 회사가 연결되어 있을 때 각 부서에서 디자인을 하게되며 여러회사가 다른 디자인을 하는 것이 아닌 큰 개념의 회사 Design System에 맞춰 디자인을 한다.
또한 UX/UI 디자이너가 하는 일에 더불어 UX Research, UX Writer를 조금씩 포함하고 있다.

JD (직무기술서)

원하는 회사의 홈페이지, 채용공고 등을 확인해보면 UX/UI Designer의 역할과 JD를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회사가 원하는 Designer의 인재상(집중하는 점)을 알아볼 수 있다.

회사마다 집중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원하는 회사가 집중하는 점을 알고 Portfolio작업을 하면 좋을 것 같다.

> 합격을 위한 디자이너의 자질

JD를 통해 분석하고 원하는 회사에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자질들도 굉장히 중요하다.
이 자질은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사용자 중심 사고, 비즈니스&전략적 사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기술이해도·시스템적 사고가 있다.

Product Designer

> 디자이너가되면 하는 일

최종적으로 디자이너가 되면 목표와, 주요역할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목표 :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과 기능을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창출, 비즈니스 목표와 사용자 요구를 균형있게 조율

  • UX Research, 데이터 분석, 사용자 흐름(Flow) 설계
  • UI Design 및 Interaction Design 설계
  • Prototyping (Figma, Framer, Principle 등)
  • 제품 개발 프로세스 이해 (기획, 개발, 운영까지)
  • A/B 테스트 및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Product Designer에게 요구하는 UX/UI 수행능력

  • UX Research 및 사용성 테스트 진행 (기획단계)
    UX Research 및 사용성 테스트 진행 목표
  • 사용자 Flow 설계 및 WireFrame 제작 (설계)
  • Design System 제작 및 활용 - Color, Typography, Layout 등 (디자인)
  • 개발팀과 협업하여 UI가 실제로 제품 구현되도록 지원
  • 구현된 디자인 데이터 및 QA

단순히 디자인만 생각하던 내 머리를 한 대 때린 것 마냥 디자이너가 수행하는 일이 많아서 놀랐고 이를 위해 더욱 기초를 열심히 다져둬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Problem Derivation/Resolution

> 기획 단계에서 문제 도출하기

3가지 What → Why → How 과정을 통해 문제를 도출한다.
What : 무엇을 목적으로 이룰 것인가?
Why :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제가 되는 것은?
How :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목적이 달성되는가?
문제도출을 하고 Why에서 5Whys를 통해 원인을 찾고 문제해결까지 이어진다.

> 문제해결 사례

> Design Thinking과 5Why

문제해결 사례를 보면 Design Thinking5Why의 핵심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 표면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문제(근본 원인)'를 찾아 해결하는 과정
  • 사용자 중심 사고(User-Centered Thinking)를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
  • 반복적인 실험(Iteration)과 개선을 통해 더 나은 경험을 제공

Design Thinking + 5Why은 문제해결의 궁극적인 무기가 될 수 있고 이를 적극 활용해야겠다.

Design System

'Design System'은 서비스의 목적에 맞도록 일관되게 구성한 일련의 패턴과 공유된 규칙언어로 정의하며 쉽게 말해 '사용자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설계 문서'이다.

Design System은 경험해보았던 것과 같이 Component하나가 여러개로 모여 구성된다.

> Design Sysstem이 주는 강점

  •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 유지
  • 디자인&개발 생산성 향상 (시간절약)
  • 협업 강화 (디자이너&개발자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 정체성 유지 (아이덴티티 정의)

> Design System 예시

보통 UX/UI 디자이너가 이 Design System을 제작하며 요즘은 UX/UI 디자이너를 Platform 디자이너라고도 한다.

찾아보기

위 내용을 토대로 일상생활 중 사용했던 앱에서 불편한 점을 찾아내고 유사한 서비스를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불편한 점을 명확한 문제로 정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아래는 내가 'Figma'를 통해 작성한 '네이버 지도' 앱 불편한 점, 서비스 비교분석, 문제정의이다.
<'네이버 지도'앱 문제정의>

UX/UI Design의 일부만 보고 해보고 싶다고 했던 내 자신이 낯부끄러웠고 직무를 하나하나 알아보고 뜯어보니 디자이너에 대한 존경심이 들었고 꼭 나도 디자이너가 되어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3월 21일

부끄러울일까진 아니지요! 어떤 일이든 보여지는 것에 비해서 보이지 않는 해야하는 일도 많은 것 같아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