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트캠프 개강일 첫 수업은 디자인이란 무엇인지, UX/UI 디자인이라는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생각 정리 이론을 배우고, 실제로 활용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수업 이틀차인 오늘은 UI와 UX의 개념차이, UX 연구를 통해 얻어 낸 여러가지 원칙들에 대해 배우고, UX디자인 사례를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수업시간에는 실무에 들어가기에 앞서 Figma의 UI구조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앱/웹의 기본 레이아웃을 그리기, 이틀차에 분석했던 앱의 레이아웃 구조를 잡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저번시간에 'Figma Tool'에 대한 기초를 배웠으니 오늘은 UX/UI 디자인을 하며 많이 사용되는 기능을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졌고, 나아가 UX/UI에 활용되는 화면 요소의 명칭, 디자인 가이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본격적으로 UX/UI 디자인을 제작하기에 앞서 'Component'와 'Variants'라는 주요기능을 배워보고 우리나라 정부에서 지침하고 있는 '범정부 가이드'의 'KRDS Component'를 통해 고용24의 UX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 배웠던 'Component'와 'Veriants'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Figma'의 'Design Library' 기능과 Design System을 알아보고 활용하여 화면 Clone Design을 진행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 주의 끝인 오늘의 수업은 'Figma'의 'Prototyping'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배우고 적용하고, 여러 웹사이트의 Design Concept을 분석해 본 뒤 한 기업을 정해 Design Concept을 잡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8일차인 오늘은 'Sendbird iOS' 자료의 Component를 바탕으로 UI Design을 진행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Prototyping을 적용해보았다. 끝으로 'Coupang'의 화면 한 부분을 선택해 기능들을 하나씩 뜯어보며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9일차인 오늘은 화면 Design을 할 때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Color와 Font에 대해 알아보고 어제 진행하던 'Coupang'의 화면분석을 경우에 따라 어떻게 구성되는지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10일차에 접어든 이번 수업은 'Figma'의 'Grid' 기능을 활용하여 일관성있는 화면 디자인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3일간 진행하던 과제의 마지막인 'Coupang' 화면 Clone Design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Part2 : UI 디자인실무가 시작된 오늘은 새로운 강사님께서 오셔서 Product Designer가 알아야 하는 기본 개념과 갖춰야 할 능력, 직무에 대한 이해에 더불어 JD분석 방법을 알아보고 문제도출에서 문제해결을 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12일차인 오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상한 기능들을 실제로 어떻게 구현하는 지에 대해 디자인 설계 방법에 대해 배우고 직접 UI 디자인을 위한 설계를 경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4주차의 첫 시작인 오늘은 이때까지 배웠던 Figma 도구들을 복습하며 기초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고 배운 도구들을 활용해 나의 Portfolio 프로필 작업과 이전 시간에 진행한 분석 자료들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13일차의 Figma 기본도구들을 배운 뒤 오늘은 Component 기능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기초지식을 다지고 기존 App Design 화면의 Component들을 Clone Design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 배웠던 Component 수업 내용 다음으로 UI Design을 할 때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Grid 기능을 다시 한 번 복습하고 Grid, Component 기능을 활용해 WEB, Mobile 화면구성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오늘은 Design System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 번 복습하며 기초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고, Design System Reference Copy 작업과 Copy한 Design Systemd을 활용해 화면구성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4주차의 마직막인 오늘은 Design 실전을 위한 Design 기본 원칙을 재상기 시키고 App&WEB의 기본 원칙을 통해 성공적인 User Interface를 제작하는 방법을 찾아 내 WEB Design에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수업은 디자인을 할 때 도움이 되는 여러가지 AI 툴에 대해서 알아보고 추가로 회사업무에 자주 사용되는 Notion 기능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통해 이때까지 배웠던 내용을 ChatGPT에게 질문해보고 이를 문서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4월의 시작인 오늘은 본격적인 Project에 들어가기 앞서 WEB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WEB의 필수적인 기본 구성을 알아보고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오늘은 실무에서 디자이너가 Design Process 시작 단계에서 하게 되는 일과 'Kick Off'와 'Handoff'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이전에 배웠던 내용으로 최종 WEB 구성과 Clone Design을 하는 시간은 가졌다.

이제까지 진행했던 작업물에 대한 Critic을 진행하고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내용을 담은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고 감상평을 남기는 시간을 가졌다.

Project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는 Research의 개념과 유형들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내 Project 주제에 맞는 Persona 설정, Jorney Map을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6주차의 시작인 오늘은 이전에 작업해둔 서비스 기획 내용을 토대로 Research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준비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에 작성해둔 조사배경과 목적, To-Know List와 조사대상 선정을 한 내용을 토대로 Research 수행작업을 하게 되었다. 정량적 Research 방법을 사용할 때 질문작성에 대한 주의사항을 배우고 설문조사 항목을 설정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 수업에서 정량적 Research 설문조사 항목 작성에 이어서 오늘은 정성적 Research, 그 중 Focus Group의 특징과 주의사항을 배우고 질문목록을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때까지 배웠던 UX Research에 대한 내용을 복습해보고 작성내용을 문서화로 정리해본 뒤 직접 User Survey를 진행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에 이어서 UX Research에 대한 내용을 복습해보고 하루 간 설문조사를 진행한 내용의 통계를 확인하고 자료로 조사결과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UX Research의 실전에 들어가기 위해 가상의 사용자를 만드는 Persona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Research 결과를 바탕으로 Persona를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에 이어서 UX Research의 목적과 Persona 개념에 대한 복습을 하고 대표적인 Modeling 방법인 Journey Map과 Affinity Diagram을 알아보고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UX Research > #### > UX Resea

이때까지 작성해왔던 '게임 주요소식 알림 서비스 개발' UX Research의 내용과 UX Modeling 작성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배우고 작성해본 후 전체 UX Research 과정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UX Research 과정을 기반으로 결과를 도출할 때 HMW 작성을 하는 방법과 Crazy8, Mind Map 발산기법의 작성법을 알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거친 뒤 Research 작업 최종 정리를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HMW Inshigt : "

Figma 작업을 다시 돌아오며 Figma 내에서 앱 서비스의 기능을 실행해볼 수 있는 Prototype의 기초를 배우고 Clone Design을 통해 적용까지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8주차의 첫 날인 오늘 UX/UI 디자인 핸드오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실무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본 뒤 작업했던 내용을 토대로 실전 핸드오프 문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다. ✔️ Hand-Off 디자이너가 만든 UI 디자인을 개발자가 구현할 수 있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로스 해킹의 기본 개념과 관련 개념들을 알아보고 Research를 통해 개념의 보충과 사례를 찾아보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 배운 그로스 해킹으로 보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배우고 내가 가상의 서비스를 기획할 때 성공을 확인하기 위한 핵심지표를 세워보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로스 해킹에서 데이터 분석과 해석의 중요성을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용어와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실제 서비스 지표 분석 사례 조사를 통해 기획한 서비스와 비교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로스 해킹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데이터를 위해 다루게 되는 툴의 종류와 그 중 Google Analytics라는 툴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앞서 37일차에 배웠던 Google Analytics의 탐색 기능에 어떤한 분석 툴이 있는 지를 사용하며 이해하고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로 유저의 행동분석, 개선 방향성을 구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시각화가 필요한 이유와 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고 데이터 시각화 보고서 작성법을 통해 GA 데이터 리서치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다.

데이터 시각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시각화 기법을 알아보고 시각화 툴을 비교, 스토리텔링 중심 보고서의 작성법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공휴일을 보내고 난 오늘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올바른 답을 얻기 위한 AI의 기본적인 개념과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배우고 Research를 진행했던 과정에 대한 회고록을 ChatGPT를 통해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AI툴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치며 오늘은 데스크 리서치의 기본 개념과 목적을 알아보고 AI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해보고 PPT 제안서 형식으로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AI 데스크 리서치에 이어 이전에 진행한 Google Form 설문조사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10주차의 마지막인 오늘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디자이너의 역할과 변화 과정을 배워보고 AI 시대 돌입에 따라 AI 발전 단계와 AI시대에 디자이너가 가져야할 책임을 알아보며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시간에는 이전에 배웠던 AI 데이터 기술을 토대로 ChatGPT를 활용하여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다양한 단계를 실습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PPT로 제작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디자이너가 실무에서 개발자와의 원활한 소통과 효율적인 업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 지식에 대한 기초 내용과 디자이너를 위한 개발 지식을 배우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제 이론 수업에 이어 VS Code를 활용해 Html의 구조와 주요 태그들을 알아보고 작성했던 이론 필기 내용을 VS Code로 작성하여 Html 페이지를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론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VS Code로 작성해보았던 내용에서 추가로 다른 태그들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해보며 WEB Profile을 제작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에 작성한 Html의 스타일, 레이아웃 등을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CSS의 개념과 태그들을 배우고 이를 활용해 어제 작성한 웹 프로필을 CSS를 통해 꾸며보는 시간을 가졌다.

12주차의 시작인 오늘 수업에서 배웠던 개발을 위한 기초 태그들과 개념을 복습하고 웹 레이아웃의 기초 구조를 알아보며 웹사이트 제작 전 레퍼런스 사이트를 선택해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론 수업의 마지막인 오늘! 어제 분석한 레퍼런스 사이트와 구조를 토대로 이전에 제작해둔 프로필 사이트를 VS Code를 활용하여 디벨롭해보는 시간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