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설명 |
---|---|
-L --logical | 심볼릭을 포함하더라도 pwd 환경 변수를 사용 |
-P --physical | 심볼릭 정보를 무시하고 출력 |
옵션 | 설명 |
---|---|
-a | 숨김파일 포함 파일목록 조회 |
-l | 지정한 디렉토리의 내용을 자세하게 출력 |
-d | 지정된 디렉토리의 정보 출력 |
-n |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출력시 UID, GID를 사용 |
-R | 하위 경로와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도 같이 나열 |
-F | 파일 형식을 알리는 문자를 각 파일 뒤에 추가 |
ls *.exe | 확장자가 exe인 목록 조회 |
항목 | 설명 |
---|---|
cd [디렉토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 |
cd. | 현재 디렉토리 |
cd ..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cd $ 변수명 | 변수에 저장된 경로로 이동 |
cd ~ cd $HOME cd |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계정명 | 입력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이전 경로로 이동 |
1. 일반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한 개 이상의 파일도 출력할 수 있다. )
ex) $ cat file
ex) $ cat file1 file2 file3
2. 파일을 여러개 합쳐 하나의 큰 파일을 만들 때 사용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만들어지는 새로운 파일은 기존의 파일이 아니라 새로운 파일
이어야 한다.
ex) $ cat file1 file2 > newFile
3. 기존의 파일에 입력한 파일의 내용을 덧붙여준다. 즉, file1의 내용이 기존 파일
file2의 맨 끝에 붙어서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다.
ex) $ cat file1 >> file2
4. 새로운 파일을 만들 때 사용한다. 해당 명령어를 사용한 이후에 표준입력으로
키보드에 입력한 내용을 파일에 저장하게 된다. 입력이 끝나면 CTRL + d 를
입력하여 새로운 내용이 저장된 파일을 생성한다.
ex) $ cat > new_file
옵션 | 설명 |
---|---|
-b | 줄번호를 화면 왼쪽에 나타낸다. 비어있는 행은 제외한다. |
-n | 줄번호를 화면 왼쪽에 나타낸다. 비어있는 행도 포함한다. |
-e | 제어 문자를 ^ 형태로 출력하면서 각 행의 끝에 $를 추가한다. |
-s | 연속되는 2개이상의 빈 행을 한행으로 출력한다. |
-v | tab과 행 바꿈 문자를 제외한 제어 문자를 ^ 형태로 출력한다. |
-E | 행마다 끝에 $ 문자를 출력한다. |
-T | 탭(tab) 문자를 출력한다. |
-A | -vET 옵션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본다.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디렉토리 내부의 new_folder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new_folder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파일로 이름 바꾸기
ex) mv 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user/jtaewu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user/jtaewu/new_folder
/user/jtaewu 경로 test.txt 파일을 /user/guest 디렉토리에 new.txt로 바꾸어 이동
ex) mv /user/jtaewu/test.txt /user/guest/new.txt
옵션 | 설명 |
---|---|
-i | 기본적으로 .bashrc에 alias되어 있는 옵션으로, 이동할 위치에 동일한 파일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 |
-u | 이동할 파일이 이동할 위치에 있는 파일보다 최근 파일일 경우에만 이동한다. |
-b | 대상 파일이 이미 있어 지워지는 것을 대비해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
-r | 대상 파일이 이미 있어도 사용자에게 어떻게 처리할지를 묻지 않는다. |
-v | 파일을 옮기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
-s | -b 옵션을 이용하여 백업할 경우 백업파일에서 사용할 파일 이름의 꼬리 문자를 지정한다. |
현재 디렉토리에 dir1 디렉토리를 만든다.
ex) mkdir dir1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상위(부모) 디렉토리가 없으면 함께 만든다.
ex) mkdir -p dir1/dir2
/home/user/위치에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home/user/new_folder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권한까지 지정한다.
ex) mkdir -m 700 dir5
옵션 | 설명 |
---|---|
mkdir -m |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한다. (Default: 755) |
mkdir -p | 여러 덱스의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시에 사용한다. |
mkdir -v | 디렉토리 생성시 메세지를 출력한다. |
mkdir -z | SELinux 보안 컨텍스트 설정을 한다. (직접 확인 필요) |
mkdir --help | 도움말을 출력한다. |
mkdir --version | mkdir 정보를 출력한다. |
원본 파일을 원본 파일이 존재하는 위치에 대상파일 이름으로 복사한다.
( 같은 경로에 hello2 이름으로 복제된다. )
$ cp hello hello2
원본 파일을 목적지 디렉토리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으로 복사한다.
$ cp hello ../copy
원본 디렉토리를 원하는 경로에 복사한다. 이때 원본 디렉토리의 이름을 대상 디렉토리에
복사할 때 이름은 같다.
$ cp -r copy ./example/
대상 파일과 같은 이름의 파일을 백업파일으로 생성하려 하면 ~을 붙혀진다.
$ cp -bf hello hello
옵션 | 설명 |
---|---|
-i | 복사대상 파일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복사에 대한 실행여부를 묻는다. |
-f | 복사대상 파일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 없이 강제로 복사한다. |
-r, -R | 디렉토리를 복사할 경우 하위 디렉토리 파일 모두 복사한다. |
-v | 복사 진행 상태를 출력한다. |
-d | 복사대상 파일이 심볼릭(기호, 상징) 파일이면, 심볼릭 정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복사한다. |
-p | 원본 파일의 소유주, 그룹, 권한, 시간정보를 보존하여 복사한다 |
-a | 원본 파일의 속성, 링크, 정보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한다. |
옵션 | 설명 |
---|---|
-v | 모든 파일에 대해 모드가 적용되는 진단(diagnostic) 메시지 출력. |
-f | 에러 메시지 출력하지 않음. |
-c | 기존 파일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만 진단(diagnostic) 메시지 출력. |
-R | 지정한 모드를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해 재귀적으로(recursively) 적용. |
- test.txt 파일에 대해 user의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group과 others는 모든 권한 제외
ex) chmod 700 test.txt
- test.txt 파일에 대해 실행 권한 추가부여
ex) chmod +x test.txt
- test.txt 파일에 대해 group에 write 권한 부여
ex) chmod g+w test.txt
- test.txt 파일에 대해 others의 모든 권한 박탈
ex) chmod o-rwx test.txt
옵션 | 설명 |
---|---|
-c |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
-f |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세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
-v | 작업 상태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
-R |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
- Owner를 root로 변경하는 예제 ( root로 병경하기 때문에 sudo를 사용해야 한다.)
ex) $ sudo chown root file1.txt
- owner를 홍길동으로 Group을 한국인으로 변경하는 예제
ex) $ chown 홍길동:한국인 file1.txt
1. TCP 프로토콜 연결 상태를 확인
ex) $ netstat -at
2. UDP 프로토콜 연결 상태를 확인
ex) $ netstat -au
3. 모든 네트워크에서 연결을 대기중인(LISTEN) 프로그램 중 PID와 프로그램 명과
도메인 네임을 출력한다.
ex) $ netstat -nap
4.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용한 옵션으로 열려있는 포트 번호와 데몬, 그리고
그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점검할 수 있다.
ex) $ netstat -atp
옵션 | 설명 |
---|---|
-a | 모든 네트워크 상태 출력[-all] |
-c |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마다 실행[-continous] |
-e | 확장된 정보 출력 |
-g | 멀티캐스트에 대한 그룹별 정보 출력 |
-i | 인터페이스별 통계값 출력 |
-l | 대기중인 네트워크 |
-n |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출력 |
-o | 연결 대기시간 출력 |
-p | PID(프로세스 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 출력 |
-r | 라우팅 테이블 출력 |
-s | 프로토콜 요약 정보 출력 |
-t | TCP 프로토콜만 출력 |
-u | UDP 프로토콜만 출력 |
-v | 버전 출력 |
-w | RAW 프로토콜만 출력 |
-A | 프로토콜별로 출력 |
-M | 마스커레이딩 정보 출력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로 IP주소, 서브넷마스크, MAC주소, 네트워크 상태 등을 확인, 설정할 수 있다.
인수가 없는 ifconfig 명령은 활성화된 인터페이스 세부사항을 아래와 같이 요소들을 포함하여 표기한다.
요소 | 설명 |
---|---|
enp0s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
mtu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fer Unit) |
ine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
netmas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넷마스크 주소 |
broadcas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
inet6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6 주소 |
prefixlen | IP 주소에서 서브 넷 마스크로 사용될 비트 수 |
scopeid | IPv6의 범위. LOOPBACK / LINKLOCAL / SITELOCAL / COMPATv4 / GLOBAL |
ethe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 |
RX packets | 받은 패킷 정보 |
TX packets | 보낸 패킷 정보 |
collision | 충돌된 패킷 수 |
Interrup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 |
자주 쓰이는 ifconfig 예제
1.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확인
ex) $ ifconfig -a
2. 해당 인터페이스 정보만 확인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3. 해당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처리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down
4. 해당 인터페이스 활성화 처리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up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running
5. 해당 인터페이스 IP 변경하기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IP
6. 넷마스크 변경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netmask [넷마스크 변경값]
7. 브로드캐스트 주소 변경
ex) $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broadcast [브로드캐스트 변경값]
모드 | 설명 |
---|---|
명령모드 | vi를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모드로 커서의 이동, 수정, 삭제, 복사 붙이기, 탐색 등을 한다. 입력모드 전환키인 i,a,o,I,A,O 등을 입력하면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명령모드로 다시 전환하려면 Esc 키를 누르면 된다. |
입력모드 | 입력모드 이외에도 편집모드, input mode, insert mode 등으로 불리며, 글자를 입력하는 문서를 만드는 모드이다. 명령 모드에서 입력 전환키를 눌러서 전환하면 화면 아래에 '-- INSERT --' 라고 표시된다. |
콜론모드 | 명령 모드에서 ' : ' 키를 입력했을 때 화면 맨 아랫줄에서 명령을 수행하는 모드로 저장, 종료, 탐색, 치환 및 vi 환경 설정 등의 역할을 하는 모드이다. |
:q 를 입력하면 vi 편집기가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q! 는 변경된 내용이 있더라도 저장하지 않고 무조건 종료되는 명령어이다.
:wq 는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단축키 | 설명 |
---|---|
i |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입력 |
I [ shift + i ] | 현재 커서 줄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 |
a |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 |
A [ shift + a ] | 현재 커서 줄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 |
o | 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 입력 |
O [ shift + o ] | 현재 커서의 이전 줄에 입력 |
명령어 | 설명 |
---|---|
h |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 ⬅와 같은 의미 ) |
j | 커서를 아래로 한 칸 이동 ( ⬇ 와 같은 의미 ) |
k | 커서를 위로 한 칸 이동 ( ⬆ 와 같은 의미 ) |
l |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 ➡ 와 같은 의미 ) |
w | 다음 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
^ | 줄의 첫 문자로 이동 |
$ | 줄의 맨 끝으로 이동 ( :$ 는 줄의 제일 끝으로 이동 ) |
0 | 첫 번째 열로 이동 ( :0은 줄의 제일 처음으로 이동 ) |
G ( Shift + G ) | 제일 끝 행으로 이동 |
gg ( g + g ) | 제일 첫 행으로 이동 |
nG | n번째 행으로 이동 |
:숫자 + Enter | n번째 행으로 이동 |
H(Head) ( Shift + h ) | 화면의 첫 줄로 이동 |
M(Middle) ( Shift + m ) | 화면의 중간으로 이동 |
L(Last) ( Shift + l ) | 화면의 끝 줄로 이동 |
[Ctrl] + b | 이전 화면으로 이동 (Page Up과 같다) |
[Ctrl] + d | 반 정도 화면 이동 (스크롤 중간 정도 내린거 같은것) |
[Ctrl] + f | 다음 화면으로 이동 (Page Down과 같다) |
n% | 입력한 n 퍼센트에 해당하는 줄로 이동 |
명령어 | 설명 |
---|---|
x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자를 삭제 (del과 같은 의미) |
dw | 단어 삭제 |
dd | 현재 커서의 행 삭제 |
숫자 dd |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 |
yy | 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 |
숫자 yy |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 |
p |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후에 붙여넣기 |
p ( shift + p ) |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전에 붙여넣기 |
명령어 | 설명 |
---|---|
u | 직전에 내린 명령을 취소 |
/문자열 + enter | 문자열에 입력한 문자와 같은 문자열을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부터 아래 방향으로 검색 |
/문자열 + enter | 문자열에 입력한 문자와 같은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검색 (즉 위 방향으로 검색!) |
n | 찾은 문자 중 다음 문자로 이동 |
N (shift + n) | n이 아래로 검색을 계속 내려가는 거라면 N은 위로 검색을 계속 진행하는 것 |
명령어 | 설명 |
---|---|
-c K --bytes=K | 뒤에서부터 입력한 숫자(K) bytes 만큼의 문자를 출력합니다. 해당 옵션과 함께 +K 처럼 +를 사용하면 앞에서 K번째의 문자부터 끝까지 출력 한다. |
-n K --lines=K | 뒤에서부터 K개의 줄을 출력한다. 해당 옵션과 함께 +K 처럼 +를 사용하면 앞에서 K번째 줄부터 끝까지 출력한다. 기본값은 10으로 해당 옵션을 주지 않으면 하위 10개의 줄을 출력한다. |
-f --follow[={name | descriptor}] | 계속해서 파일의 상태를 감시하며 파일에 내용이 뒤에 추가될 때 마다 새로 추가된 내용을 보여준다. 기본값은 descriptor이다. |
-q --quiet --silent | 파일의 헤더를 출력하지 않는다 즉, 상단에 파일 이름을 출력하지 않는 것이다. |
-v --verbose | 파일의 헤더를 출력한다. 즉, 상단에 파일 이름을 같이 출력한다. |
-F | --follow=name --retry 의 옵션과 같다. tail 명령어 실행 도중 파일명이 변경되었더라도 tail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사용한 파일명의 파일 내용을 계속 출력한다. |
-max-unchanged-stats=N | -f or --follow=name 과 함께 쓰이며 파일이 변경되지 않았더라도 N번 후에 파일을 다시 확인한다. |
-pid=PID | -f or -follow 와 함께 쓰이며, 옵션으로 준 PID가 종료되면 해당 tail 옵션도 종료한다. 특정 프로세스의 로그를 남길 때 유용하다. |
retry | 파일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파일을 읽으려고 꾸준하게 시도하는 옵션으로 --follow=name 과 함께 쓰인다. |
-s --sleep-interval=N | -f or --follow와 함께 쓰이며 해당 파일을 확인할 때 N초만큼 sleep 상태였다가 파일을 확인한다. --pid=PID 와 함께 쓰이면 적어도 N 초 간격에 한번으로 해당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
기본적인 (Default 10줄) 사용법으로 파일 2개 이상 가능
ex) $ tail test.txt
ex) $ tail test.txt test2.txt
n 옵션 예제로 하위 n개의 줄을 출력
ex) $ tail -n 3 test.txt
n(+) 옵션 예제로 앞에서부터 n개의 줄을 출력
ex) $ tail -n +3 test.txt
명령어 | 설명 |
---|---|
start | 서비스를 시작 |
stop | 서비스 중지 |
status | 서비스 상태 확인 (서비스가 구동중인지 확인) |
restart | 서비스 재시작 (중지 -> 시작) 으로 보통 변경한 설정 후에 많이 사용된다. |
reload |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설정값을 반영 (서비스가 중지되면 안되는 경우에 사용) |
enable | enable (시스템이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서비스 실행하도록 등록) |
disable | enable한 서비스를 해제 |
- 모든 서비스 목록 확인하기
ex) # systemctl list-units --type service [--all]
- 모든 서비스의 현재 활성화 상태 보기
ex) # systemctl list-unit-files --type service
- 설정들을 데몬에 즉시 반영하기 위한 명령어
ex) # systemctl daemon-reload
- 서비스와 관련된 프로세스까지 모두 종료
ex) # systemctl kill [서비스명]
- 서비스를 disable 했는데도 계속 보이면 리셋시키는 명령어
ex # systemctl reset-failed
1. $ forever start [파일]
- Node.js를 실행시키는 명령어로 forever start를 사용한다.
ex) $ sudo forever start index.js
2. $ forever list
- $ sudo forever list를 이용하여 forever를 통해 실행되어 동작중인 백그라운드
데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 forever stop
- $ sudo forever stop [프로세스 식별 번호] 를 이용하여 forever으로 실행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서버를 정지시키는 기능이다.
kill 명령어는 이름 때문에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프로세스에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실제로 어떤 그널을 보낼지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5번 SIGTERM 시그널을 보내게 되는데 해당 SIGTERM의 기본동작이 프로그램 종료이기 때문이다.
$ kill -l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시그널의 숫자와 이름이 출력된다.
기본적으로 $ kill -[보낼 시그널] PID 로 사용하는데 지정된 PID를 갖는 프로세스에 지정된 시그널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옵션 | 설명 |
---|---|
-f | 강제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
-r |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내용을 삭제 |
-d | 비어있는 디렉토리들만 제거 |
-i | 매번 삭제할때마다 사용자에게 삭제할것인지 묻는다. |
-l | 3개의 이상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디렉토리 내부가 비어있지 않을때만 삭제할것인지 묻는다. |
-v | 삭제되는 대상의 정보를 출력 |
- test.txt 파일 삭제
ex) rm test.txt ne_folder
- /home/user/test.txt 삭제
ex) rm /home/user/test.txt
- new_folder 디렉토리 삭제
ex) rm -r new_folder
- 여러개의 파일 삭제
rm [삭제 대상1] [삭제 대상2] [삭제 대상3] .....
ex) rm test1.txt test2.txt test3.txt
-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제거
ex) rm -rf *
- 현재 위치의 .txt로 끝나는 모든 파일 제거
rm *.txt
옵션 | 설명 |
---|---|
-q | 클래스 이름, JAR 파일 이름, main 메서드에 전달된 인자를 모두 생략하고 JVM 아이디(보통 OS 프로세스 아이디와 동일.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만 표시한다. |
-m | main 메서드에 전달된 인자를 표시한다. |
-l | 애플리케이션 main 클래스의 전체 패키지 이름 또는 JAR 파일의 전체 경로를 표시한다. |
-v | JVM에 전달된 인자를 표시한다. |
-V | 클래스 이름, JAR 파일 이름, main 메서드에 전달된 인자를 모두 생략한다. |
1. firewall 상태 확인 (실행중은 running, 실행중이 아닐 때 not running을 출력)
ex) firewall-cmd --state
2. 방화벽 다시 로드
ex) firewall-cmd --reload
3. 존(Zone) 출력하기
3-1. 존(Zone) 목록을 출력
ex) firewall-cmd --get-zones
3-2. 기본 존을 출력
ex) firwall-cmd --get-default-zone
3.3. 활성화된 존을 출력
ex) firewall-cmd --get-active-zones
4. 사용 가능한 서비스 및 포트 출력
ex) firewall-cmd --list-all
5. 서비스 / 포트 추가 및 제거
5-1. ftp 서비스 추가
ex) firewall-cmd --add-service=ftp
5-2. ftp 서비스 제거
ex) firewall-cmd --remove-service=ftp
5-3. 21 tcp 포트 추가
ex) firewall-cmd --add-port=21/tcp
옵션 | 설명 |
---|---|
-a | 디렉토리 말고도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 |
-k | 결과 값을 KB 단위로 출력(기본값) |
-d | 몇 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할지 설정 |
-m | 결과 값을 MB 단위로 출력 |
-h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량의 단위(KB,MB,GB)를 표시(1M를 1,048,576단위로 계산) |
-H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량의 단위(KB,MB,GB)를 표시(1M를 1,000,000단위로 계산) |
-i | i노드의 사용정보를 표시함 |
-l | 하드 링크의 용량을 모두 계산함 |
-s | 사용량의 총 합계만 출력 함 |
-S (shift + s) | 하위 디렉토리를 합치지 않고, 각각을 나누어서 계산하며 지정된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 내용까지 볼 수 있음. |
-T | 각 파일시스템들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 종류를 추가로 표시해 줌 |
옵션 | 설명 |
---|---|
-n | 마지막에 따라오는 개행문자 (newLine) 문자를 출력하지 않음 |
-e | 문자열에서 역슬래시 (\) 와 조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를 인용부호로 묶어 인식 |
이스케이프 문자 | 설명 |
---|---|
\a | 경고음 소리 출력 |
\b | 백스페이스 |
\c | 마지막 개행문자를 출력하지 않음 |
\f | 폼 피드형식으로 출력 |
\n | 개행 문자 출력 |
\r | 개리지 리턴 |
\t | 수평 탭 |
\v | 수직 탭 |
\\ | 역슬래시 |
\nnn | ASC|| Code 가 nnn(8진수)인 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