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하게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을 알았다면 이젠 테이블 조건과 데이터 삽입에 대해 알아봅시다.
테이블 안에 정보를 입력할때 무조건 값을 넣어줘야하는 값을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사진과 같이 테이블에 컬럼을 지정할 때 끝에 NOT NULL을 써주면 데이터를 삽입할때 값을 반드시 말해 주어야 합니다.

이 처럼 NOT NULL이 지정되지 않은 컬럼에 대해선 값을 반드시 넣야할 필요는 없지만, NOT NULL이 설정된 값에는 반드시 값을 넣어줘야 합니다.
디폴트 값이란 사용자가 따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NULL값 대신 기본 설정값으로 값을 지정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TABLE의 칼럼 age와 phone_num의 유일한 차이는 DEFAULT값을 지정해주었냐 지정해주지 않았냐 차이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어떤 값도 넣어주지 않았을 때 age는 DEFAULT로 지정된 25가 출력되고 phone_num은 null이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양이 방대하다보면 모든 컬럼값에서 같은 값을 가지는 데이터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복되지 못하게 하는 PRIMARY KEY로 구분시킬 수 있습니다.

테이블을 만들때 PRIMARY KEY를 설정하면 그 값은 중복될 수 없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처럼 같은 값을 넣어도 PRIMARY KEY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name과 age값이 다르더라도 기존에 있는 PRIMARY KEY와 겹치면 추가가 불가능 합니다.

테이블을 생성할 때 AUTO_INCREMENT를 설정하면 PRIMARY KEY를 유저가 따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숫자를 하나씩 올리며 id값이 겹치지 않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