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정확히는 스프링 컨테이너는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로 구분해서 이야기한다. 하지만,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일반적으로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berRepository();
}
}
💡 빈의 이름은 항상 다른 이름을 부여해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엄밀히 말해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로 구분한다.
BeanFactory는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로 스프링 빈을 조회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에 추가적인 기능을 덧붙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이다.
MessageSource
: 메세지 소스를 활용한 국제화기능, 나라에 맞는 언어로 나오도록 하는 기능
EnvironmentCapable
: 로컬, 개발, 운영등을 구분해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기능
ApplicationEventPublisher
: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하는 기능
ResourceLoader
:파일 클래스패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하게 지원하는 기능
https://winnerchen.github.io/yiheng.github.io/2017/10/19/Spring-Introduction/
https://catsbi.oopy.io/0f28d626-febb-421d-91c8-5d44c6df7d1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