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MVC 패턴까지의 과정

JP·2021년 11월 14일
0

spring

목록 보기
1/5
post-custom-banner

이 포스팅은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김영한 님) 강의를 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모든것은 HTTP 기반으로 동작한다

클라이언트 <-> 서버는 모든것이 HTTP 기반으로 동작한다.

  • html,text
  • 이미지, 음성, 영상, 파일
  • json, xml
  • 서버간의 데이터 전송 등

웹서버 또한 HTTP기반으로 동작한다.

  • 정적 리소스 제공(HTML, CSS, JS, IMAGE, 영상...), 기타 부가 기능들
  • NGINX, APACHE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또한 HTTP 기반으로 동작한다.

  • 동적 HTML, HTTP API(JSON)
  • 서블렛, JSP, 스프링 MVC
  • ex) 톰캣, JETTY, Undertow

웹서버와 웹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

  • 둘의 용어와 경계가 모호함
  • 웹서버는 정적 리소스 제공, WAS는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에 특화되어 있음
    - 웹서버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기도 함
    • WAS도 웹서버의 기능을 제공 함
  • 자바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기능을 제공하면 WAS로 여김
    - 서블릿 없이 자바코드를 실행하는 서버 프레임워크도 있음!
    --> WAS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하는데 더 특화

웹 시스템의 구성은 WAS와 DB만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but

  • WAS, DB만으로 시스템이 구성 가능하다
  • WAS는 정적 리소스, 애플리케이션 로직 모두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구성만으로의 문제점으로는

  • WAS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여 서버에 과부하가 우려되는 점
  • 가장 비싼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정적 리소스 때문에 수행이 어려울 수 있는 점
  • WAS 장애시 오류 화면 노출이 불가능 한 점

해결 방법으로는
웹시스템 구성을 WAS, DB에서 WAS, DB + WEB 으로 바꾼다.

  •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동작하는 WAS 서버는 잘 죽기 마련이다
  • WAS, DB에서 장애가 일어날 경우 WEB서버가 오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Servlet과 JSP를 이용한 동적 웹 개발 but

자바 서블릿은 웹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래스의 일종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그에 대한 결과를 반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내 개인적으로 JAVA + HTML 로 이해했다.

@WebServlet(name="responseHtmlServlet", urlPatterns = "/response-html")
public class ResponseHtmlServlet extends HttpServlet{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setContentType("text/html");      
        resp.setCharacterEncoding("utf-8");
        PrintWriter writer = resp.getWriter();
        writer.println("<html>");
        writer.println("<body>");
        writer.println("<div>안녕</div>");
        writer.println("</body>");
        writer.println("</html>");
    }
}

하지만 서블릿만을 이용한 개발에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이 많은 태그들을 직접 썻어야 했으며 이에 따른 html화면 렌더링은 큰 고통이였다.

이에 따라 JSP가 등장하게 된다.

Java 코드가 들어가 있는 HTML 코드라고 보면 된다.
그냥 서블릿이 JAVA + html 이였다면, 이건 HTML + JAVA 이다.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
<%@ taglib uri="/functions" prefix="f" %>
<html>
<head><title>Localized Dates</title></head>
<body bgcolor="white">
<jsp:useBean id="locales" scope="application"
    class="mypkg.MyLocales"/>

<form name="localeForm" action="index.jsp" method="post">
<c:set var="selectedLocaleString" value="${param.locale}" />
<c:set var="selectedFlag"
     value="${!empty selectedLocaleString}" />
<b>Locale:</b>
<select name=locale>
<c:forEach var="localeString" items="${locales.localeNames}" >
<c:choose>
    <c:when test="${selectedFlag}">
        <c:choose>
            <c:when
                 test="${f:equals(selectedLocaleString, localeString)}" >
                <option selected>${localeString}</option>
            </c:when>
            <c:otherwise>
                <option>${localeString}</option>
            </c:otherwise>
        </c:choose>
    </c:when>
    <c:otherwise>
        <option>${localeString}</option>
    </c:otherwise>
</c:choose>
</c:forEach>
</select>
<input type="submit" name="Submit" value="Get Date">
</form>

<c:if test="${selectedFlag}" >
    <jsp:setProperty name="locales"
        property="selectedLocaleString"
        value="${selectedLocaleString}" />
    <jsp:useBean id="date" class="mypkg.MyDate"/>
    <jsp:setProperty name="date" property="locale"
        value="${locales.selectedLocale}"/>
    <b>Date: </b>${date.date}</c:if>
</body>
</html>

JSP를 이용한 개발에서는 JAVA 파일에서의 html태그와는 이별 할 수 있었지만 반면에 JSP파일 자체가 너무 커지는 부담이 있었다.

then, MVC

위에서 보았듯이 JSP만으로 비즈니스 로직과 뷰 렌더링을 처리한다면 너무 많은 역할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유지보수가 어려워 진다.

  • UI와 비즈니스 로직의 변경 주기가 다르다면 분리해야 한다
  • 하지만 JSP는 자바코드와 UI를 한 파일에서 같이 쓰기에 하나의 유지보수 싸이클로 관리하기가 너무 어렵다.
  • 서블릿은 자바코드를 실행하는데 최적화, JSP는 화면 렌더링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기능을 분리하는게 좋다.

따라서 나온 것이 모델, 뷰, 컨트롤러를 구분하자는 의미의 MVC 패턴이다.

M : Model, 뷰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아둔다.
V : View, 모델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HTML을 보여준다
C : Controller, HTTP요청을 받아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뷰에 전달할 데이터를 모델에 담는다.

장점

  • 각각의 영역에서 관심사가 분리되어 있기에 개발자는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 개발의 유연성 ++ ,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

한계

  • 모델과 뷰의 완전한 독립은 불가능하다.
  • MVC의 크기가 커질수록 C-M-V의 라이프 사이클이 강하게 연결되는 바람에 분리/테스트가 어려워진다.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파생 패턴들이 존재한다( ex)MVP,MVVM... )
profile
to Infinity and b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