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Suspense 를 썼는데 데이터가 undefined 로 추론되는 걸까..?
최근 사내 스터디 에서 직접 Bundler 를 제작해보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다.
현재 개발 중인 MZ2MO 프로젝트에서는 재생 중인 음악의 타임라인과 현재 재생 시간을 보여주는 요구 사항이 존재했다.
어느덧 2023년의 절반이 지나갔다, 지난 6개월 간 나는 얼마나 성장했는가.
ICT 인턴쉽이 다가오는 6월 30일에 마무리 된다. 그간 나는 어떤 시간을 보냈는가.
14기 때 프로젝트 미완성 이라는 아쉬운 점을 안고, 15기에 재도전 하였다.
mutation 이란, 서버에 Side-Effect 를 일으키도록 하는 함수다.
HTTP 쿠키란, 서버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맨날 겪어도 멘붕이다. CORS..
구조적 타이핑의 특성 상, 타입에서 요구하는 속성만 충족한다면 그 이후의 나머지 속성에 대해서는 별도로 체크하지 않는다.
이번주는 그렇게 내용이 많지는 않아서 보충이 필요해보인다..
면접도 떨지 않았는데 막상 회사를 간다고 하니 긴장이 엄청 되었다.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위한 언어이지만, 모든 변수에 타입을 선언 하는 것은 대단히 비효율적인 스타일이다.
처음으로 경험해보는 5일 간의 스프린트 대모험
TS의 타입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TS의 타입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분명 머리로는 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말로서 뱉어내려니 어려웠다.
이 글은 Node.js 로 처음 코딩 테스트를 진행하는 분들께 유용합니다.
도대체 이 괴상망측한 기호들과 애스터리스크는 뭘 의미하는 걸까?
이제 4학년인데 인턴쉽은 해봐야지 않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