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Effect 는 어떻게 브라우저의 Paint 이후에 정확히 실행될 수 있을까?

RookieAND·2024년 3월 14일
1

Solve My Question

목록 보기
26/27
post-thumbnail

주의!
해당 글은 아직 react-reconciler 내 구현체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끝나지 않았습니다.
useEffectMessage Channel API 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과정을 중점으로 서술합니다.
만약 틀린 점이 있다면 부디 React Fiber 장인 분들의 많은 의견과 질책 부탁드립니다.

📖 Introduction

  • 어떻게 useEffect 는 컴포넌트가 브라우저에서 완전히 렌더링 된 이후의 시점에 실행될까?
  • 어떤 글에는 내부적으로 setTimeout 을 둬서 렌더링 이후의 실행을 보장한다고 하는데… 과연 그 말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 Paint 작업이 만약 지연된다 해도 setTimeout 이 유효한지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 개인적으로 useEffect 의 구현체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

✒️ Logic of Commit Phase

  • useEffect 는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리고 난 이후, 즉 Paint 이후에 실행되는 Effect 이다. (항상 그렇지는 않으나 대체로 그렇다)
  • 그렇다면 브라우저가 Paint 된 시점을 정확히 찾아 Effect 를 실행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 먼저 useEffect 는 Commit Phase 에 실행되므로 Render Phase 가 종료되는 시점에 실행되는 내부 코드를 조사해보자.
// Render Phase 의 Work 가 종료될 경우 실행되는 함수 performSyncWorkOnRoot
function performSyncWorkOnRoot(root) {
  // ... 이전 코드 생략

  // Commit Phase 에 진입하는 함수 commitRoot 실행
  commitRoot(
    root,
    workInProgressRootRecoverableErrors,
    workInProgressTransitions
  );

  return null;
}
  • commitRoot() 함수 내부에서는 실제 Commit Phase 에서 실행되는 작업들을 모아둔 구현체는 commitRootImpl 함수를 실행한다.
  • 이때 Root 에 소비해야 할 Passive Effect 가 존재한다면, scheduleCallbackflushPassiveEffects 함수를 인자로 넣어 실행시킨다.
function commitRoot(
  root: FiberRoot,
  recoverableErrors: null | Array<CapturedValue<mixed>>,
  transitions: Array<Transition> | null
) {
	// ... 중략

  try {
    ReactCurrentBatchConfig.transition = null;
    setCurrentUpdatePriority(DiscreteEventPriority);
    // commitRoot 의 실제 구현체인 commitRootImpl 를 실행시킨다.
    commitRootImpl(
      root,
      recoverableErrors,
      transitions,
      previousUpdateLanePriority
    );
  } catch (error) {
	  // ... 생략
  }

  // ... 중략

  return null;
}

// commitRoot 의 실제 구현체 commitRootImpl
function commitRootImpl(
  root: FiberRoot,
  recoverableErrors: null | Array<CapturedValue<mixed>>,
  transitions: Array<Transition> | null,
  renderPriorityLevel: EventPriority
) {
  // ... 중략

  // 만약 Pending 상태의 Passive Effect 가 존재한다면, Passive Effect Scheduler 에 적재시킨다.
  if (!rootDoesHavePassiveEffects) {
    rootDoesHavePassiveEffects = true;
    pendingPassiveEffectsRemainingLanes = remainingLanes;
    pndingPassiveTransitions = transitions;
    scheduleCallback(NormalSchedulerPriority, () => {
      // Passive Effect 내 부수 효과를 Trigger 시키는 함수 flushPassiveEffects
      flushPassiveEffects();
      return null;
    });
  }
}

✒️ ScheduleCallback in React

// packages/react-reconciler/src/ReactFiberWorkLoop.new.js (3088 Line)
const fakeActCallbackNode = {};
function scheduleCallback(priorityLevel, callback) {
  if (__DEV__) {
        const actQueue = ReactCurrentActQueue.current;
        if (actQueue !== null) {
	        actQueue.push(callback);
	        return fakeActCallbackNode;
        } else {
        // DEV 모드에서도 Scheduler_scheduleCallback 함수를 실행시킨다.
        return Scheduler_scheduleCallback(priorityLevel, callback);
        }
  } else {
    // PRODUCTION 모드에서는 항상 Scheduler_scheduleCallback 함수를 실행시킨다.
    return Scheduler_scheduleCallback(priorityLevel, callback);
  }
}

// packages/react-reconciler/src/Scheduler.js
export const scheduleCallback = Scheduler.unstable_scheduleCallback; // 이 친구가 실제 ScheduleCallback 이다.
  • React 에서 사용하는 Scheduler 모듈 중, unstable_scheduleCallback 의 구현체는 아래와 같다.
  • unstable_scheduleCallback 에서는 인자로 받은 callback 을 포함하여 내부적으로 쓰이는 Task 객체를 만든다.
  • Scheduler 모듈에서는 수행할 Task 를 보관한 Task Queue (Min-Heap) 를 사용하며, Scheduler 가 실행할 작업을 정렬하여 보관한다.
    • 최소 힙 자료구조로 Task Queue 를 설계한 이유는, 각 Lane 별로 Priority 가 존재하기에 이를 기반으로 Task 를 실행시키기 위함이다.
// packages/scheduler/src/forks/Scheduler.js

// Scheduler 최소 힙 구현 (우선 순위에 따른 Task 정렬)
import { push, pop, peek } from '../SchedulerMinHeap';

function unstable_scheduleCallback(
  priorityLevel: PriorityLevel,
  callback: Callback,
  options?: {delay: number},
): Task {
  var currentTime = getCurrentTime();
  var startTime;
	// ... startTime 구하는 로직, 중략

  var timeout;
  var expirationTime = startTime + timeout;

  // TaskQueue 에 추가할 새로운 Task 객체를 생성하고, callback 함수를 인계한다.
  var newTask: Task = {
    id: taskIdCounter++,
    callback,
    priorityLevel,
    startTime,
    expirationTime,
    sortIndex: -1,
  };

  if (startTime > currentTime) {
    // ... 지연된 Task 에 대한 처리, 생략
  } else {
    newTask.sortIndex = expirationTime;
    
    // TaskQueue 힙에 새로운 Task 추가.
    push(taskQueue, newTask);
    // 스케줄링된 작업이 없다면 (isHostCallbackScheduled flag 가 false 라면), requestHostCallback 호출
    if (!isHostCallbackScheduled && !isPerformingWork) {
      isHostCallbackScheduled = true
      // taskQueue 내부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꺼내어 실행시키는 flushWork 를 requestHostCallback 에 인계
      requestHostCallback(flushWork);
    }
  }

  return newTask;
}

function requestHostCallback(callback) {
  scheduledHostCallback = callback;  // scheduledHostCallback 에 인자로 받은 callback 을 인계한다.
  if (!isMessageLoopRunning) {
    isMessageLoopRunning = true;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
  • unstable_scheduleCallback 함수에서는 Task 를 추가한 후, requestHostCallback 함수를 호출하여 스케줄링을 시작했다.
    • 만약 이미 스케줄러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는 Task Queue 에 새로운 Task 를 추가하는 것으로 작업을 마친다.
  • requestHostCallback 내부에서는 스케줄러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를 실행시킨다.
  • Scheduler.js 모듈에서는 실행 환경 (IE, NodeJS, Safari, Chrome 등) 에 따라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를 다르게 설정했다.
// IE 혹은 Node.js 인 경우에는 localSetImmediate 에 setImmediate 를 추가한다.
const localSetImmediate =
  typeof setImmediate !== 'undefined' ? setImmediate : null;

let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Node.JS 혹은 IE 인 경우 MessageChannel API 를 사용하지 않고 setImmediate 를 사용한다.
if (typeof localSetImmediate === 'function') {

  //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식별자에 localSetImmediate(performWorkUntilDeadline) 을 할당시킨다.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 => {
    localSetImmediate(performWorkUntilDeadline);
  };
} 
// 그 외 브라우저에서는 MessageChannel API 를 사용하여 onMessage 콜백에 performWorkUntilDeadline 를 실행시킨다.
else if (typeof MessageChannel !== 'undefined') {
  const channel = new MessageChannel();
  const port = channel.port2;

  // port2 에서 postMessage 실행 시 port1 의 onmessage 콜백이 실행된다.
  // 이를 기반으로 스케줄러가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를 실행하면 performWorkUntilDeadline 가 실행되도록 설계했다.
  channel.port1.onmessage = performWorkUntilDeadline;

  //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에 postMessage 함수 인계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 => {
    port.postMessage(null);
  };
} else {
  // 브라우저가 아닌 환경에 대해서는 setTimeout 을 사용한다.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 => {
    localSetTimeout(performWorkUntilDeadline, 0);
  };
}
const performWorkUntilDeadline = () => {
  if (scheduledHostCallback !== null) {
    const currentTime = getCurrentTime();
    startTime = currentTime;
    const hasTimeRemaining = true;

    let hasMoreWork = true;
    try {
      // 아직 Task Queue 에 작업이 더 남았는지를 체크한다. 
      hasMoreWork = scheduledHostCallback(hasTimeRemaining, currentTime);
    } finally {
	    // 만약 처리해야 할 작업이 아직 남았다면 다음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를 호출한다.
      if (hasMoreWork) {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else {
        isMessageLoopRunning = false;
        scheduledHostCallback = null;
      }
    }
  } else {
    isMessageLoopRunning = false;
  }

  needsPaint = false;
};

✒️ MessageChannel

❓ 왜 Paint 이후에 Schedule 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MessageChannel API 를 사용했을까?

  • Paint 이후 시점을 정확히 Catch 하기 위해서는 MessageChannel API 의 동작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
  • MessageChannel API 는 두 개의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메세지 채널을 생성하는 Web API 이다.
  • MessageChannel API 는 두 개의 포트를 제공하고, 하나의 포트에서 postMessage 를 실행하면 다른 포스트의 onmessage 핸들러가 동작하여 비동기로 callback 호출되는 동작 방식을 가진다.
  const channel = new MessageChannel();
  const port = channel.port2;

  // port2 에서 postMessage 실행 시 port1 의 onmessage 콜백이 실행된다.
  // 이를 기반으로 스케줄러가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를 실행하면 performWorkUntilDeadline 가 실행되도록 설계했다.
  channel.port1.onmessage = performWorkUntilDeadline;

  //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에 postMessage 함수 인계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 () => {
    port.postMessage(null);
  };
  • Scheduler 내부 로직을 보면, port1 의 onmessage 핸들러에 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를 등록했다.
  • 이후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에 port2.postMessage(null) 을 실행하는 콜백을 할당했다.
  • 이 경우 만약 schedulePerformWorkUntilDeadline 함수가 실행되면 port2.postMessage(null) 가 실행되는 것이고, 그 결과로 port1 의 onmessage 핸들러에 등록된 performWorkUntilDeadline 가 실행된다.

이때, onmessage 핸들러에 등록된 콜백은 비동기로 동작하기에 Task Queue 에 들어간다.

  • 브라우저가 화면을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Call Stack 을 사용하고, 이는 비동기로 실행된 Task 들이 브라우저의 렌더링이 종료되기 이전에는 실행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 따라서 브라우저의 렌더링이 종료되는 시점, 즉 Paint 가 완료된 시점에서 Call Stack 이 비고, 이때 onmessage 핸들러에 등록되어 실행되었던 performWorkUntilDeadline 이 바로 실행된다.
  • 이러한 원리로 React 에서는 Passive Effect 작업을 브라우저의 Paint 작업 이후에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 단 IE 나 NodeJS 처럼 MessageChannel API 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setImmediate 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MessageChannel 로 인해 Task Queue 에 등록된 Task 들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기 때문에 Paint 이후에 빠른 실행이 가능하도록 보장 받는다.
    • 왜 높은 순위를 가지는가? 에 대한 간단한 조사
      • Each [MessagePort](https://html.spec.whatwg.org/multipage/web-messaging.html#messageport) object also has a task source called the port message queue
      • When a port's port message queue is enabled, the event loop must use it as one of its task sources.
      • Port Message Queue 에 1개 이상의 Task 가 적재될 경우, 무조건 해당 Task 를 소비해야 한다.

하지만 이 방식도 만능은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한다.

  • 해당 Effect 가 실행되기 전에 리렌더링이 발생하는 경우 (useLayoutEffect) 에는 Paint 이전에 해당 Effect 를 소비할 가능성도 있다.

📒 Reference

profile
항상 왜 이걸 써야하는지가 궁금한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