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잘 캡처하기 위해 패킷 스니퍼를 어느 위치?에 배치할지 결정하는게 효과적인 패킷 분석을 위해 중요하다고 함.
패킷 스니퍼를 설치할 장소?를 결정하는 법에 대해 다룸.
스위치는 최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연결 장치라고 함.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유니캐트 트래픽 사용 가능하고 전이중 통신 가능.
근데 스위치 환경은 패킷 분석하기 더 어렵고 복잡하게 만든다고 함...
스위치 환경에서 다른 컴퓨터를 스니핑하기 위한 방법은
포트 미러링, 허빙 아웃, 탭 사용, ARP 캐시 포이즈닝 등의 방법이 있다고 함.....
ARP 동작 방식
ARP는 같은 네트워크에서 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원할 때 시작된다고 함.
ARP 캐시(테이블)를 검색해 IP주소와 연관된 MAC 주소가 있는지 찾음.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주소 ARP 요청을 보냄.
해당 IP주소를 가진 컴퓨터는 ARP에 응답하여 MAC 주소를 회신하고, 아닌 컴퓨터들은 무시한다고 함.
ARP cache poisoning 동작 방법
ARP spoofing이라고도 불림.
스위치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회선을 태핑하는 방법이라고 함...
Cain & Abel 툴 사용?
ARP 캐시 포이즈닝 공격 시도할 수 있는 보안 툴이라고 함.
패킷 스니퍼를 물리적으로 어디에 설치한다는게 무슨 말인지?
-> 실제로 하드웨어적으로 패킷 스니핑 장치를 연결하는 건가?
그럼 직접 못해보는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대해 자세히 모름.
네트워크 카드랑 똑같은건가?
어떻게 생겼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허브가 설치돼 있는 네트워크에서 스니핑하는 게 왜 패킷 분석가의 꿈일까?
-> 허브는 브로드캐스팅하니까.
허브의 빈 포트에 패킷 스니퍼를 연결하면 허브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지.
포트 미러링, 허빙 아웃, 탭 사용, ARP 캐시 포이즈닝이 뭔지 모름.
IP 주소(계층 3)를 이용해 MAC 주소(계층 2)를 알아내는 원리 까먹음.
-> 계층 2의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 수행됨.
스위치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회선을 태핑한다는게 무슨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