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데이터 전송 및 이동을 위해 생성되는 객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언어 환경에서 주로 사용
숨기고 싶은 중요한 데이터의 노출을 막음
RequestDTO & ResponseDTO
Request 데이터를 처리할 때 👉 RequestDTO (주로 Create, Update)
Response 데이터를 처리할 때 👉 ResponseDTO (데이터를 뿌려줄 때)
1️⃣ User가 요청한 데이터가 URI를 통해 RequestDto에 담겨서 Controller로 들어옴
2️⃣ Controller가 Service로 로직처리를 넘김
3️⃣ Service에서 로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필요하면 Repository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음
4️⃣ 데이터를 전달 받는 과정에서 Exception이 없으면 ReponseDto에 데이터를 담아서 Controller로 Response
5️⃣ Exception이 있으면 Exception 메시지가 Controller로 Response
6️⃣ Controller가 매핑된 URI를 통해 View로 데이터를 넘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