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공부방법)

로선생·2024년 5월 5일
0

공부 시작은 3주 전부터 계획하였으나,
직장인이라 평일에는 필기 병행이 어려웠다.
(진짜 힘들었다)

다행스럽게도 기사 1회 시험은 설날 연휴가 끼어있어서 7일 정도는 풀로 공부할 수 있었다.
생각 있으신 분들은 연휴 껴서 공부하시는 방법도 추천 드립니다!

실 공부기간: 7일(하루 full 다 쓴 날, 평균적으로 6-8시간 공부)

시험 결과

모의고사 점수와 비슷하게 나왔다.
안전하게 합격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시험 방식

정처기 필기는 연습장(무제한) + 컴퓨터로 답 클릭하는 시험이다.
과목당 20문제, 총 5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시험지 '제출' 누르고 바로 합격 여부를 알 수 있다.

프로그래밍 지식 여부

전공자는 아니지만, 학교에서 컴퓨터 복수전공을 했고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중이라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시험을 시작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은 거의 공부하지 않았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그냥 학부 기억 되살리기 정도 했다..

교재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3036227

뭐든 상관 없지만, 시나공 기본서를 이용하였다.
이것저것 홈페이지에서 자료 제공하는 것 같지만,
책만 봐도 충분했다.

공부 방법

필기는 나온 문제가 또 나오기 때문에 거꾸로 공부해야 한다.
개념 -> 문제가 아니라,
문제 -> 개념으로 가야한다.

  1.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일단 가장 오래된 모의고사 1회를 푼다.
  2. 다 틀렸을 텐데 조바심 내지 말고, 모든 문제에 대한 기본서 내용을 공부한다.

    -> (사진 참고) 51번 문제가 70섹션 2필드이면, 70섹션을 풀고 해당 섹션에 대한 연습문제까지 푼다.

    -> 이 때, 단권화(요약집)를 활용해 주면 좋은데 나는 책에서 제공하는 핵심요약 부분을 뜯어서 사용했다.
  3. 개념이 끝났다면, 그 다음 오래된 기출문제를 푼다.

-> 이렇게 기출과 오답 개념 학습을 반복하면 점차 모의고사 1회분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다.
그리고 아는 문제가 계속 나오게 된다.

마무리

사실 주변 선배 개발자 분들은
딱히 정처기 필요 없다고 하셨다.. ㅎ ㅎ ㅎ ㅎ ㅎ
(SI나 공공기관에서 일할 때 쓰이지, 현업에서는 그닥 필요 없다고 말씀 주셨다.)

뭐 이미 합격한 거 실기도 잘 봐야겠다.

profile
이제는 이것저것 먹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