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변수
변수 대입( a = 2 )의 의미: "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에 넣는 것!"
(2를 a라는 변수에 넣는다)
let으로 변수를 선언합니다.
let num = 20
num = 'Bob'
//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박스예요.
// 한 번 선언했으면, 다시 선언하지 않고 값을 넣습니다.
사칙연산 그리고 문자열 더하기가 기본적으로 가능합니다.
let a = 1
let b = 2
a+b // 3
a/b // 0.5
let first = 'Bob'
let last = 'Lee'
first+last // 'BobLee'
first+' '+last // 'Bob Lee'
first+a // Bob1 -> 문자+숫자를 하면, 숫자를 문자로 바꾼 뒤 수행합니다.
변수명은 아무렇게나?
let first_name = 'bob' // snake case라고 합니다.
또는,
let firstName = 'bob' // camel case라고 합니다. 회사마다 규칙이 있죠.
과 같이, 쉽게 알아볼 수 있게 쓰는 게 중요합니다.
다른 특수문자 또는 띄워쓰기는 불가능합니다!
const로 변수 선언
let value_box = '값'
value_box = '변경한 값';
console.log(value_box) // 콘솔엔 '변경한 값'이 찍힙니다.
const value_fix = '값';
value_fix = '변경한 값';
console.log(value_fix) // const로 선언한 변수엔 새로운 값을 재 할당(다시 입력!) 할 수 없습니다.
코드상에서 쉽게 변하면 안되는 고정 값을 관리할 땐 const로 선언 하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