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 props & state

Now, Sophia·2021년 9월 20일
1

TIL-REACT

목록 보기
2/11
post-thumbnail

▲ Props (properties)

리액트 모든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내장 객체
부모컴포넌트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지니고 있는 객체

props는 부모에서 넘겨주는 속성 —> 읽기 전용

속성(props)을 부여받는 것은 상위 존재가 정해주는 것.
읽기전용의 속성이라고 보면 된다.
부모가 주는 것을 받아서 자식은 읽기만 할 수 있음.
컴포넌트에 속성을 부여하는 것.
컴포넌트는 모든 속성을 부여 받는다.
state의 상태 값, event handler를 넘겨 줄 수 있다.
스트링을 제외한 데이터타입은 { } 로 표현...
자바스크립트이기 때문에

{ this.props.name }

재사용 가능 및 제한이 없음.

▶︎ 부모파일에서

class Parent extend Component {
  introduce = ( ) => {
    alert("Hello");
  }
  render() {
    return (
      <div>
      <Child name="me" age={0} introduce={this.introduce} />
      <Child name="Minji" age={1} introduce={() => alert("Good morning")} />
      </div>
    );
  }
}

▶︎ 자식 파일에서

class Child extend 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h1 onClick={ this.props.introduce }>
      Name: {this.props.name} Age: {this.props.age}
  </h1>
  </div>
// 렌더링 하면,
// Name: me Age: 0 --> click 하면 alert 창으로 "Hello" 가 뜸
// Name: Minji Age: 1 --> click 하면 alert 창으로 "Good morning"이 뜸
  );
 }
}

▶︎ this

class 안에서 this는 해당 class 객체를 가리킨다.

🔺 arrow function

함수를 선언 할 땐 화살표함수를 쓴다.
이유는?! this 때문이다.!
this가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되는데, 이 때 함수들이 props로 다른 컴포넌트로 넘어가서 호출되면 다른 컴포넌트를 가르키는 this로 가르키기 때문에 this가 달라져서 오류가 난다.!

그러나 화살표함수는 함수가 선언된 그 장소에서 고정된 값으로 해당 컴포넌트를 가지고 있다.
즉, 화살표함수는 this가 고정되어 있고, 일반함수는 호출되면 this를 엉뚱하게 인식을 하고, 제대로 값을 가져오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컴포넌트에서 함수선언 할 때에는 꼭 화살표함수를 선언해야 한다.

▲ State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값.
UI를 그리는데 필요한 것을 담고 있는 state라는 객체

변하지 않는 값들은 class component 밖에서 const 변수 선언.
state에는 변하는 값을 넣어준다.
class component 안에 constructor()super()가 필수.!
super() 함수가 호출되면 해당 컴포넌트가 상속하고 있는 리액트의 Component 클래스가 지닌 생성자 함수를 호출해 준다.

class Parent extend 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titleColor:"red",
  	  subTitleColor:"green"
    }
  }
  render() {
    return (
      <div>
      <h1 style={{ color: this.state.titleColor }} >부모타이틀!</h1>
// JSX 문법에서는 인라인 스타일 줄 때, 객체형식으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총 2개의 중괄호가 생긴다.
// 밖에 있는 {}는 자바스크립트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고,
// 안에 있는 {}는 객체형태를 나타내는 중괄호이다.
      </div>
    );
  }
}

state는 컴포넌트 안에서 스스로 변경하는 것. —> setState를 통해 값을 변경할 수 있다.
state 값은 직접적으로 바꿀 수 없고,
리액트의 구조상 setState를 호출이 된 다음에는 render 함수를 다시 호출하라고 되어 있다.
class 기반으로 생성되는 경우는 setState를 활용하고,
function 기반으로 생성되는 경우는 useState를 활용한다.

▲ Event를 이용한 state 값 변경

event를 통해 state 변경
이벤트를 이용하여 state를 바꿀 수 있음.
class Parent extends Component {
  constructor () {
    super();
 	this.state= {
 	  titleColor:"red"
  // state의 값 초기화 설정.
    };
  }
}
  changeTitleColor= () => {
   this.setState({ 
	titleColor:"blue"
   });
  }
 // setState라는 함수에 객체형식으로 변경될 값을 넣어준다.
// 리액트 컴포넌트 안에 있는, 내재되어 있는 함수. 겹치면은 마지막에 있는 것으로 덮여쓰여짐.
  render() {
    return (
      <>
      	<h1 style={{ color: this.state.titleColor }}>현재 부모타이틀은 레드</h1>
	<button onClick= {this.changeTitleColor} 버튼 누르면 블루!/>
      </>
    )
  }

component 에게 적용하는 (html에서 속성인) props 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
그러나, state는 component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것. 사용자들이 알 필요가 없음
props의 값이나 state의 값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해당 컴포넌트의 랜더함수가 호출되도록 되어 있다.

🔺 잊지말자!

state와 변수의 차이점은 state는 재렌더링되고,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

▲ Toggle

하나의 설정 값으로부터 다른 값으로 전환.
두 가지 상태 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한 값이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다른 값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state를 true/false의 값으로 변경하고, 삼항연산자를 이용하여 toggle 구현할 수 있다.
class Parent extends Component {
  constructor () {
    super();
 	this.state= {
 	  isButtonClicked: false
   // 객체 생성~
    };
  }
}
  changeTitleColor= () => {
   this.setState({ 
	isButtonClicked: !this.state.isButtonClicked
  // 여기서 'isButtonClicked'는 단순 string 키 이름.
  // 키값은 toggle을 위해 해당 state의 반대의 값을 할당해야 해서
  // 'this.state'로 접근하여 state의 값을 가져와서 '!'로 반대의미 부여
   });
  }
  render() {
    return (
      <>
      	<h1 style={{
       color: this.state.isButtonClicked ? "red" : "blue"
   // 삼항연산자를 이용하여 toggle 완성.
  // state의 값이 true 면 "red", 아니면 "blue"
 // 조건문에 'this.state.isButtonClicked === true' 로 표현 안한 이유는 자체가 boolean 값이기 때문!
      }}>현재 부모타이틀은 레드</h1>
	<button onClick= {this.changeTitleColor} 버튼 누르면 블루!/> 
      </>
    )
  }

h1button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state의 값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button은 click Event로 state의 값만 바꿔주고 있다.
state의 값에 따라 h1의 스타일링이 바뀌고 있다.

▲ 구조분해할당 문법

객체나 배열의 구조를 분해해서 객체 안에 있는 키 값과 동일한 이름으로 변수를 만들어서 사용.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Par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
    super();
 	this.state= {
 	  isButtonClicked: false
    };
  }
}
  changeTitleColor= () => {
    const { isButtonClicked } = this.state;
  // 지역변수로 state 초기값을 구조분해 할당 함.
   this.setState({ 
	isButtonClicked: !isButtonClicked
  // 여기서 'this.state' 생략!!
   });
  }
  render() {
    const { isButtonClicked } = this.state;
  // constructor 안에 생성된 state 초기값을 구조분해 할당 함.
    return (
      <>
      	<h1 style={{
       color: isButtonClicked ? "red" : "blue"
   // 여기서 'this.state' 생략!!
      }}>현재 부모타이틀은 레드</h1>
	<button onClick= {this.changeTitleColor} 버튼 누르면 블루!/> 
      </>
    )
  }

🔺 구조분해할당 시, 만드는 변수는 렌더 안에 해야 함.

여기서 구조분해할당에 변수를 여러개 넣을 수 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Par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
    super();
 	this.state= {
 	  isButtonClicked: false,
      childTitleColor: "green"
  // state의 키를 두개로 만듬
    };
  }
}
  changeTitleColor= () => {
    const { isButtonClicked } = this.state;
   this.setState({ 
	isButtonClicked: !isButtonClicked
   });
  }
  render() {
    const { isButtonClicked, childTitleColor } = this.state;
  // state의 키이름들을 한 개의 변수에 넣을 수 있음.
    return (
      <>
      	<h1 style={{
       color: isButtonClicked ? "red" : "blue"
      }}>현재 부모타이틀은 레드</h1>
	<button onClick= {this.changeTitleColor} 버튼 누르면 블루!/>
	<Child childTitleColor= {childTitleColor} />
  // Child 컴포넌트의 props 상속.
      </>
    )
  }

Child 컴포넌트에서 확인!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Child extend React.Component {
  render() {
    console.log('this.props', this.props);
// console로 찍어봐서 해당 props 값을 가지고 오는지 확인 가능.
    const { childTitleColor } = this.props;
  	return (
       	 <>
      	  <h2 style= {{
      	    color: childTitleColor}}> 여기는 자식 컴포넌트으~ </h2>
// 여기서 'this.props' 생략하고 childTitleColor만 가지고 옴.
// 이유는 위에 구조분해 할당하였기 때문에!
     	</>
    )
  }
}

자식은 부모의 state를 직접적으로 변경 할 수 없다.
그러나 부모 내에서 변경하는 함수를 만들고, 그 함수를 자식에게 props로 전달을 함으로써 값을 변경할 수 있음.

🔺 초중요!

리액트는 부모에서 자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한방향, 단방향.
같은 형제관계에서는 서로 접근을 할 수가 없음

profile
Whatever you want

0개의 댓글